올해 대학 입시에서 이과생들의 문과 교차 지원에 대한 관심이 지난해보다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올해 이과 수험생 9천8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교차지원 의향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수시 합격자 발표 후 이과생의 문과 교차지원 관심도는 지난해 44.8%에 비해 9%포인트(p) 상승한 53.8%를 기록했다.
시점별로 봤을 때 올해 수능 직후에는 조사 대상의 23.2%가 교차지원에 관심을 나타냈는데, 수능 결과 발표 이후에는 46.6%로 관심도가 높아졌다. 수시 합격자 발표 후에는 절반 이상이 교차 지원에 관심을 보인 것.
시점별로, 지난해 이과 수험생들의 교차지원 관심도는 수능 직후 26.8→수능 결과 발표 후 37.4→수시 합격자 발표 후 44.8%였다. 수능 결과 발표 후 관심도 역시 전년대비 9.2%p 올랐다.
대학들이 발표한 변환 표준점수 적용 방식에서 이과가 불리하지 않다는 점이 드러나며 이과생들의 교차지원 선호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대학들은 수험생의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 표준점수가 정시전형에 반영되는 방법인 '변환 표준점수'를 각각 발표했다.
종로학원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모두 이과생이 문과 교차지원을 할 때 탐구영역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했다"고 분석했다.
올해 문과와 이과의 표준점수 차이는 크지 않고, 서울대는 이러한 표준점수를 그대로 활용한다. 연세대는 이과생 교차지원 시 인문 표준점수를 적용 받아 불이익이 없고, 고려대는 과탐 표준점수가 적용되지만 감점이 0.1 정도에 그쳐 사실상 영향력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경희대 등 주요 대학 모두 탐구과목에서 교차지원 시 불이익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상위권 대학에서 수학에 경쟁력이 있는 이과생에게 유리한 구도"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올해는 대학 입시에서 수시모집 단위 자체가 줄어서 이에 따른 수시 이월 규모가 크게 늘지 않아 정시 선발 인원 규모 조정도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임 대표는 "이과생 교차지원 상황은 서울권 대학 인문과 자연 학생들에게 모두 큰 변수가 될 것"이라며 "이과의 경우에도 특정 수준 구간대 대학에서 공백이 발생해 일부 문과 학과에서는 이과생들 간 경쟁 구도가 형성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2023학년도 정시모집은 오는 29일을 시작으로 내년 1월 2일까지 진행된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