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미분양 주택 증가세 9개월 만에 꺾였다

대구 미분양 주택 5.6% 감소… 악성 미분양은 0.4% ↑
미분양 물량 자체는 여전히 전국 1위

대구 시내에서 바라본 시가지 아파트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시내에서 바라본 시가지 아파트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의 미분양 주택 증가세가 9개월 만에 꺾였다.

대구의 미분양 물량 자체는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많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대책이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분양시장 침체가 길어지며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27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미분양 주택은 1만3천199가구로 전월보다 5.6%(788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문제가 전국에서 가장 심각했던 대구의 미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하지만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1만3천가구대'를 유지하며 전국에서 여전히 가장 많았고 경북(9천16가구)이 뒤를 이었다. 대구 미분양은 전국의 18%를 차지했다.

미분양 주택은 전국적으로도 감소했다.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천104가구로 전월보다 4.4%(3천334가구) 감소했다. 미분양이 감소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11개월 만이다.

이 가운데 서울 미분양은 2천99가구에서 한 달 새 48.4% 감소했다. 2월에 미분양으로 신고됐던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아파트(올림픽파크포레온), 경기지역 일부 미분양이 해소된 영향이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3월 수도권 미분양은 1만1천34가구로 전월보다 12.0%, 비수도권은 6만1천70가구로 2.9% 줄었다. 전체 미분양 중 비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85%로 높아졌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8천650가구로 전월보다 1.1%(96가구) 증가했다.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은 956가구로 전월보다 0.4%(4가구) 늘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경북의 경우 869가구로 전월보다 0.6%(5가구) 줄었다.

이와 관련 대구의 주택매매 거래는 예년과 비교하면 크게 증가해 거래량이 회복되는 모습이다.

3월 대구의 주택 매매량은 2천181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9.7% 늘었다. 전월과 비교하면 26.4% 늘었다.

경북의 주택 매매량은 3천39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7.4% 줄었다.

3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2천333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 줄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전매 제한 완화 등 대책의 영향에 따라 미분양이 조금씩 해소되고 있는 걸로 보인다"며 "거주 의무 폐지에 대한 기대 심리도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