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지난 2월과 4월에 이어 25일 기준금리를 또 한번 동결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존보다 떨어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영향이 다소 줄어든 상태지만, 무리하게 금리를 변동해 경기에 악재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신중론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기준금리(연 3.50%)를 변동 없이 동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20년 3월 16일 금통위는 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를 예상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p) 낮추는 '빅컷'(1.25→0.75%)을 실행했고, 같은 해 5월 28일에는 인하(0.75→0.50%)를 통해 2개월 만에 금리를 빠르게 내렸다.
이후 아홉 번의 동결을 거쳐 2021년 8월 26일, 15개월 만에 0.25%p 인상하면서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섰다.
하지만 기준금리는 같은 해 11월과 지난해 1·4·5·7·8·10·11월, 올해 1월까지 0.25%p씩 여덟 차례, 0.50%p 두 차례 인상되면서 해당 기간 동안 모두 3.00%p 높아졌다.
2021년 8월 이후 1년 반 동안 이어진 금리 인상은 올해 2·4·5월 지속적으로 동결되면서 멈춘 모습이다.
이날 한은이 또 한번 기준금리의 동결을 결정한 데는 불안한 경기 상황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우선 통관기준 무역수지가 4월(-25억2천만달러)까지 14개월 동안 적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금융시장의 적신호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금리 인상을 지속할 시 취약한 저축은행이나 카드사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하면서 미국과의 격차는 1.75%p(한국 3.50%·미국 5.00∼5.25%)로 유지됐다.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