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50년 미래의 토대를 쌓아 청년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도시를 만들겠다."
지난해 5월 홍준표 당시 대구시장 후보가 '대구 리빌딩' 공약과 함께 대구시민에게 내놓은 말이다. 한 번 뱉은 말을 지키고자 홍준표 대구시장과 대구시가 동분서주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지난달 대한상공회의소가 산업연구원과 함께 수도권 기업 159개 사를 대상으로 지방 이전 및 신증설 의향을 조사했는데 수도권을 떠나 대구경북으로 옮기겠다는 기업은 5.4%에 불과했다. 환경 규제가 심한 제주와 같은 수준이며, 대구경북 뒤로는 강원도뿐이었다. '대전·세종·충청권'에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이 51.4%로 가장 많았다. '부산·울산·경남권'과 '광주·전라권'(각 10.8%)를 택한 경우도 대구경북의 2배에 달했다.
이에 앞서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대구의 지역 경쟁력지수도 참담하다. 2020년 기준 지역 경쟁력지수에서 대구는 17개 광역시·도 중 10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특별·광역시 중에서 가장 낮은 순위다. 지역 경쟁력지수는 1인당 지역 총생산인 GRDP에 인적 자본, 제도, 기술 등을 추가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어제도, 오늘도 어렵지만 앞으로도 힘들 것으로 관측되는 게 지역의 현실이다.
이에 매일신문은 지역 내 경제 전문가를 만나 '미래 50년'을 밝게 만들어가려면 어떤 부분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혜안을 구했다.
-대구시가 5대 산업을 '미래 산업'으로 정하고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UAM(도심항공교통)과 반도체,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서비스로봇, 헬스케어는 서로 연계돼 있어서 잘 육성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신공항을 건설할 군위와 수성알파시티, 달성군에 UAM과 ABB, 로봇 산업체를 적절히 배치하고 연결해야 한다.
제2국가산업단지에는 IT(정보통신기술)와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ET(환경기술), CT(콘텐츠기술) 산업을 집적하면 좋을 거라 생각한다. 스위스와 미국 보스턴에는 대학·연구소가 기업과 결합하는 체계가 잘 잡혀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경북대도 더 적극적으로 나서 기업과 공동으로 연구·시험하고 기술을 사업화·상품화해야 한다.
-여러 지역이 신산업 육성에 뛰어든 만큼 차별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한 산업 안에 많은 업종이 있다. 세부 항목을 정해 특성화해야 하는데,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특성화를 '스마트 특성화'라 한다. 특성화할 때는 하이브리드(둘 이상 뒤섞음)하면 안 되고, 대구만의 특별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로봇산업 수도' 위치를 선점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람을 대체할 로봇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1인 가구와 만 65세 이상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15~64세 생산 가능 인구는 감소할 전망이다.
-기업 유치 측면에서 수도권 기업은 지방 이전을 꺼리는 실정인데,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아직 효과가 가시화하기 전이지만 대구는 지금 꿈틀거리고 있다. 산업구조 개편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다. 신산업을 육성하면서 달성군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등이 들어서면 기업들도 선택할 폭이 넓어진다.
기업이 본사를 수도권에 두더라도 지방에 제2본사를 설립하면 혜택을 주는 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법인세를 10~20년 정도 장기적으로 낮춰 주거나 양도소득세를 감액해 주는 거다. '텍스 프리(Tax free)'에다 토지 등에 관한 '규제 프리', 인허가를 위한 '원스톱(일괄) 지원'도 한 묶음으로 따라가야 한다.
-산업은 일자리와 청년 문제, 균형 발전으로 이어진다. 양적 성장에 더해 질적 성장을 이루려면?
▶결국 중요한 건 산업 발전이다. 산업단지를 조성하면서 교통망과 문화시설, 주거시설을 함께 갖춰야 인구를 유입하고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최하위를 벗어나는 전환점을 맞을 수 있다. 청년에게는 일자리와 주거, '워라밸'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 요즘 청년 세대 사이에서 '내 집 마련'은 큰 꿈이다.
대안으로 강소주택을 지어 저렴하게 분양하는 '스마트 청년 빌리지'를 제시한다. 군부대 등 후적지가 많이 나오니 이를 활용하거나 노후 주거단지를 개발하는 방법도 있다. 중앙 정부는 균형 발전 차원에서 지방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지원해 줘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