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난임 케어가 곧 출생률 회복의 핵심 키입니다"

29일 ‘AI기반 난임케어 서비스 활성화 포럼’…NIA, 생명공학·생산기술硏 등 전문가 70명 참석
주제발표자 이성희 경북대 교수 "그간의 정부 난임정책 개선해야"
소지영 디에이블 대표, 차정호 배아전문가協 부회장 '난임서비스 산업화, 인력양성' 제안도

경북도는 29일 도청 1층 다목적홀에서
경북도는 29일 도청 1층 다목적홀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난임케어 서비스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경북도 제공

"난임 케어가 곧 인구 감소의 핵심 키입니다. 외국에서처럼 우리도 민간이 관련 의료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고, 난임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여 출생률 회복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야 합니다."

의료계와 학계,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이 인공지능(AI)과 데이터를 활용해 난임을 돌봐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에 필요한 정부·정치권의 제도 개선,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도 촉구했다.

경북도는 29일 도청 1층 다목적홀에서 '인공지능 기반 난임케어 서비스 활성화 포럼'을 열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과 대학, 기업, 병원 등의 현장 전문가 70여 명이 참석했다.

이성희 경북대 간호대학 교수는 주제 발표를 통해 그간 정부에서 펼쳐온 난임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교수는 "난임자 1·3·7·9원칙이 있다. 첫째, 셋째 난임 시술에 실패하면 크게 실망하고, 7번째, 9번째 들어서는 몸이 안 따라줘 포기한다"며 "난임 부부를 안쓰럽게, 또는 민폐로 보는 주변 시선이 당사자를 더 위축되게 만든다. 이들이 시술을 위해 병원에 가야 하는 진료 기간과 비교하면 관련 휴가 제도도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국내 난임 경험 부부 가운데 60.9%만 난임 검사를 받고, 그중 65.7%만 시술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케어에 대한 접근성이 나쁘다는 뜻이다.

이 교수는 난임 부부의 심리와 신체 건강을 돌볼 기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외국에선 난임 부부뿐만 아니라 전 세대가 임신에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얻거나 민간 헬스케어 업체 등에 자신의 정보를 제출하고 분석받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있다.

그는 "영국 HFEA는 난임 부부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그들이 난임 시술을 이어갈 것인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난임 부부를 심리적·의료적으로 지지하고 삶의 질도 높여 저출생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난임치료 휴가제 개선(일수 증가, 남성 배우자에게도 보장) ▷체외수정 시술 대상자 연령 조정 ▷난임 관련 디지털 웰니스 시스템 구축 ▷난임 단계별 맞춤 지원 등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밖에 난임 플랫폼을 개발하는 소지영 디에이블 대표, 차정호 대한배아전문가협의회 부회장이 난임 서비스에 대한 산업적 접근 필요성과 향후 전망, 인력양성 등을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또한 지방정부와 민간이 함께 난임 관련 의료 데이터를 활용, 개인정보를 제외한 다양한 정보로 난임 케어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아이를 원하는 가정부터 먼저 지원받는 것이 저출산 정책의 출발이다. 디지털 시대에 맞게 데이터와 AI로 예측·진단하고, 맞춤형 토털 케어 방식으로 지원하는 등 '경북형 난임 솔루션'을 만들어 국내 전역에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