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6천억원…LG전자는 9천억 육박

삼성전자,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성적…LG전자는 역대 최고 실적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7일 연결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주력인 반도체 업황 악화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부진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든 것이다. 반면 LG전자는 영업이익이 8천927억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을 내며 삼성을 또 추월했다.

이날 삼성전자가 공시한 자료를 보면 2분기 영업이익은 6천억원, 매출은 60조원으로 1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은 6.25%, 매출은 5.88%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22.28%, 영업이익은 95.74% 줄었다. 영업이익은 2009년 1분기(5천900억원) 이후 14년여 만에 최저 기록이다.

부문별 세부 항목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3~4조원대 규모 적자를 냈을 것으로 분석한다. 업계 전반적으로는 2분기 D램 출하량 증가 등을 감안하면 반도체 적자 규모가 1분기(-4조5천800억원)에 비해 다소 줄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메모리 출하량이 늘면서 재고평가손실 규모가 전 분기 대비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LG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이 8천92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 증가했다. 매출은 19조9천988억원으로 작년에 비해 2.7% 늘었다. 2분기 기준으로 매출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은 2021년 2분기(9천1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1분기 실적을 합친 상반기 기준으로는 매출은 2년 연속 40조원을, 영업이익은 3년 연속 2조원을 웃돌았다. 역대 상반기 중 매출액은 두 번째, 영업이익은 세 번째로 높았다.

이 같은 호실적에 LG전자는 1분기에 이어 또다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추월하게 됐다. 상반기 영업이익만 놓고 보면 LG전자의 영업이익(2조3천901억원)이 삼성전자(1조2천402억원)의 2배에 달한다.

LG전자 측은 "경기 하락을 대비한 '워룸'(War-Room) 등을 선제운영하며 사업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해 기울인 노력이 가시화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가전과 TV 등의 사업에서 선제적인 재고 조정, 프리미엄 제품 중심 판매, 원가 개선 등의 체질 개선 전략이 유효했고, 전장사업 등 기업 간 거래(B2B) 비중을 늘리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둔 점이 호실적을 이끈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미국의 긴축 강화 우려, 새마을금고 불안 등 대내외 악재 탓에 전장보다 29.58포인트(1.16%) 내린 2,526.71에 거래를 마쳤다. 오전 한때 2,510대까지 떨어졌는데 장중 2,510대 진입은 지난 5월 18일 이후 약 2개월 만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