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명에 가까운 현직 교사가 모의고사 문항을 만든 뒤 유명 입시학원에 팔거나 아예 학원 교재를 제작해 주고 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문항 제작을 대가로 5년 동안 5억원에 가까운 돈을 받았다고 밝힌 교사도 있었다.
교육부는 지난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사교육업체와 연계된 현직 교원의 영리행위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 결과 총 297명이 768건을 신고했다고 21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모의고사 출제가 537건, 교재 제작 92건, 강의·컨설팅 92건, 기타 47건 등이었다. 지난 5년 새 5천만원 이상을 받은 교사도 45명이나 됐다.
이중 가장 많은 돈을 받은 교사는 경기도의 한 사립고 수학교사 A씨였다. 그는 2018년 8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 입시학원과 부설 연구소 모의고사 출제에 참여해 4억8천526만원을 받았다.
이 외에도 서울의 한 사립고 화학교사 B씨는 대형 입시학원 2곳과 계약을 맺고 모의고사 문항을 제공해 2018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3억8천240만원을 받았고 서울의 공립고 지리교사 C씨는 2018년 8월부터 지난 6월까지 입시학원 5곳에 모의고사 문항을 제공해 3억55만원을, 수학교사 D씨는 2018년 7월부터 지난달까지 수학 전문 사교육업체에 문항을 제공해 2억9천만여원을 받았다. 이들 모두 겸직허가를 받지 않은 채 활동했다.
교육부는 활동 기간과 금액 등 사실관계를 확인해 엄중조치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교육업체로부터 받은 액수가 지나치게 큰 경우 본업에 상당한 지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수수한 금액이 과도하면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기관에 수사도 의뢰할 방침이다. 영리행위를 한 교원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모의평가 출제에 참여했는지도 확인해 조치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날 드러난 297명 외에도 미신고 교원이 있을 것으로 보고 감사원과 협의해 조사·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자진신고를 했다고 징계를 경감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자진신고기간을 운영했음에도 신고하지 않으면 고의성이 크다고 보고 좀 더 무거운 조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