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우리나라 인구가 같은 달 기준 역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에 따르면 6월 인구는 8천205명 자연 감소했다. 출생아 수가 같은달 기준 역대 최소인 1만8천615명에 그치는 사이 사망자 수는 역대 최대인 2만6천820명을 기록한 탓이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1년 6월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상반기 누적 인구 자연 감소 규모도 5만2천32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올해 자연 감소하는 인구가 10만명을 넘길 가능성이 적잖다.
연간 인구 자연증가 규모는 1983년에는 51만5천명에 달했지만 1993년 48만2천명, 2003년 24만9천명, 2013년 17만명으로 줄었다. 그러다 2020년 처음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3만 3천명)로 전환했고 2021년(-5만7천명)과 지난해(-12만4천명·잠정)에도 자연 감소했는데 올해까지 4년 연속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할 것이 확실시된다.
통계청은 2021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에서 자연 감소 규모가 내년 11만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후 2025년 10만7천명, 2026년 10만4천명 등으로 한동안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문제는 해당 전망은 중간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로 실제 감소세가 더 빠르다는 점이다. 이 시나리오는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을 지난해 0.77명, 올해 0.73명으로 줄다가 내년 0.70명으로 바닥을 친 뒤 2025년 0.74명, 2026년 0.78명으로 반등할 것으로 가정했다.
하지만 올 2분기 합계출산율이 0.70명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9년 이후 전 분기 통틀어 역대 가장 낮아 저출생 기조가 바뀌지 않는 한 합계출산율은 0.6명대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