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년 구직자 10명 중 6명 “채용·기업정보 얻기 어렵다”

중기중앙회, 5일 청년 구직 현황 및 일자리 인식 조사 결과 발표

1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하반기 정보보호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가 면접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하반기 정보보호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가 면접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청년 구직자 10명 중 6명이 기업 정보를 얻을 곳이 마땅치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5일 발표한 지난 10월 20일부터 11월 1일까지 청년 구직자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청년 구직 현황 및 일자리 인식 조사' 결과 청년 구직자 63.8%는 취업을 희망하는 일자리에 대한 정보 획득이나 활용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가 구직활동 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기업정보 입수(29.4%)'와 '채용정보 획득(20.6%)'을 꼽았었다.

올해 조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정보 획득에 어려움이 있다(63.8%)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 여전히 청년 구직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 구인기업이 제공하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정보 비대칭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구직자들이 기업 및 채용정보를 얻는 주된 경로는 채용정보 사이트(60.7%)이며, 다음으로 기업 홈페이지(42.7%), 온·오프라인 채용박람회(36.5%), 교내 취업지원센터(33.8%)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이 고졸인 경우, 모든 정보 취득 경로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높았다. 이는 대부분의 정보가 '4년제 대졸 이상' 학력 위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돼 향후 학력별 채용정보 취득 경로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 구직자 중 64.4%는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희망 이유로 '희망 직종에 빠른 취업이 가능'(64.9%), '직주 근접성이 높음'(34.0%), '빠른 진급 및 업무 성장 가능성'(24.5%) 순으로 손 꼽았다.

반면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는 '낮은 연봉수준'(55.3%), '근로문화가 좋지 않음'(29.5%), '고용 불안정 우려'(28.4%)로 나타났다.

구직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없는 구직자가 과반수(50.9%)를 차지했으며, 이용 경험이 없는 가장 큰 이유로는 '실제 취업에 도움되지 않을 것 같다(28.5%)'를 꼽았다. 중소기업 청년 일자리 정책 활용에 대한 질문에서도 역시 '활용 경험이 없는' 응답자(77.3%)가 '활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22.7%) 대비 3.4배 높게 나타났다.

구직 지원 프로그램과 일자리 정책의 활용률이 낮은 만큼 학력별·계층별 청년구직자의 현황을 분석하여 세분화된 지원정책 제공이 시급하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청년구직자의 학력, 선호 직무에 따라 맞춤형 구인정보를 제공하고, 기업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기업정보를 제공하도록 장려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중기중앙회는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을 운영해 워크넷, 잡코리아, 사람인 등 채용사이트와의 연계로 한눈에 구인정보를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