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자리가 늘어나는 연말을 앞두고 주류 물가가 대폭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맥주와 소주 물가가 대폭 상승하더니, 양주 물가마저 10%의 상승률을 보이는 등 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맥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2.45로 지난해 동월 대비 5.1% 상승했다. 5.9% 가 오른 올해 2월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해 주류 업계에서 가격을 올리면서 당시(10월) 맥주 물가 상승률이 7.1%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다. 다만, 정부가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고, 이후 한동안 둔화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올해 1월 7.0%에서 2월 5.9%, 3월 3.6%, 4월 0.7%를 기록한 뒤 10월에도 1.0% 수준이었지만, 지난달 5%대로 다시 높아졌다.
소주 물가 상승률도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달 소주 물가 상승률은 4.7%를 기록했는데, 올해 2월(8.6%)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올해 2월 8.6%에서 3월 1.4%로 대폭 내려간 뒤 4∼10월에는 0%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지난달 갑작스럽게 4%대로 상승했다.
이처럼 맥주와 소주 물가가 상승한 건 주류 업체들이 잇달아 제품 가격을 인상해서다.
오비맥주는 지난 10월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 가격을 평균 6.9% 올렸다. 하이트진로도 지난달 9일부터 주요 소주 제품 출고가를 6.95% 올렸고, 맥주 제품 출고 가격도 평균 6.8% 인상했다.
환율 고공행진에다 각종 원부자재 가격이 상승, 국제유가 급등으로 물류비도 오르는 등 복합적으로 상승 요인이 겹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업체들은 입을 모은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연초부터 소주 주원료인 주정 가격이 10.6% 오르고 신병 가격은 21.6%나 인상되는 등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제조 경비 등 전방위적으로 큰 폭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에는 양주(위스키) 물가 상승 폭도 9.6%로 지난 2월 12.5% 상승률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양주 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0.6% 역성장한 이후 지난 10월 5.1%로 높아졌고, 지난달 10%에 근접한 상황이다.
주요 주류 중 막걸리 물가 상승률은 0.4%로 전달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