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아파트 임차인이 지불한 평균 월세 금액이 1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월세 거래의 3분의 1은 100만원 초과 고액 월세로 '3고 악재'(고물가·고금리·고환율) 속에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11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아파트 월세(전세보증금은 제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거래된 서울 아파트 평균 월세금액은 102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년 전인 2021년 평균 90만원보다 12만원(13.3%), 지난해 98만원보다 4만원 오른 수치다. 올해 전셋값이 오른 데다, 고금리 여파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전월세전환율'이 함께 상승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2021년 평균 4.1%에서 지난해 4.3%로 올랐고, 올해 들어서는 평균 4.7%로 뛰었다.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고금리 기조가 월세를 끌어올린 것이다.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보증금 반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고액 전세 임차인의 일부는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돌린 영향도 있었다.
금액별로 살펴보면 100만원 초과 고액 월세 비중이 느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의 100만원 이하 월세 비중은 2021년 71.7%에서 지난해 68.3%, 올해 들어선 11월까지 66%로 줄었다.
반면, 100만원 초과 500만원 이하 월세 비중은 2021년 27.6%에서 지난해 30.8%, 올해는 33%로 늘었다.
구별로는 나인원한남과 한남더힐 등이 자리한 용산구의 월세 평균이 208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보면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73㎡는 올해 7월 보증금 20억원에 월세 4천100만원, 한남더힐 전용 235㎡는 올해 8월 기준 보증금 5억원, 월세 2천400만원에 계약이 성사됐다. 아크로리버파크, 반포자이 등 고가주택이 많은 서초구가 평균 176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월세 부담이 급증하자 월세를 전세로 돌리려는 수요가 늘면서 전세 비중은 커지고 월세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12월 52.4%까지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월 44.8%로 감소한 뒤 지난 11월에는 연중 가장 낮은 수준인 36.3%까지 떨어졌다.
연평균으로 보면 2021년 39.6%였던 월세 비중은 지난해 43.9%로 늘었다가 올해 들어서는 11월까지 40.9%로 다시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