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참하면 타 부서 전출"…여전한 직장인 회식 갑질 주의보

직장갑질119 분석 결과…갑질에 대한 감수성 오히려 떨어져

회식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회식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직장 상급자가 회식을 강요하고 불참시 인사 불이익을 주겠다는 등 겁박하는 사례가 여전히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올해 1월부터 지난 12일까지 신원이 확인된 이메일 상담 1703건을 분석한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 회식 참여와 관련 있는 상담 건수는 48건으로, 이중 회식 강요가 30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회식 강요 사례는 모두 상급자가 수직적 위계관계를 이용해 회식을 강제로 참석하게 한 것이었으며, 제보자들은 회식 참여 여부가 업무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상의 협박까지 받았다고 직장갑질119는 전했다.

한 제보자는 "술자리 회식이 너무 잦다"며 "직원들과 술자리에서 친목 도모를 해야 하고, 그런 자리에 많이 참여할수록 적극적인 직원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제보자는 "부서에서 회식비 명목으로 매달 몇만 원씩 걷고 있다"며 "나는 몇 년 전부터 회식에 불참하고 회식비도 내지 않는데, 얼마 전 부서장이 이를 언급하면서 타 부서로 전출시킬 수밖에 없다고 한다"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조직문화를 위해 회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오히려 강해져 갑질에 대한 감수성이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직장갑질119가 지난 6월 9~15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000명 갑질 감수성 지표 조사(점수가 높을수록 감수성 높음)를 한 결과 '팀워크 향상을 위해 회식과 노래방이 필요하다'는 질문에 대한 지표 점수는 작년 73.6점에서 올해 71.2점으로 감소했다.

'직장생활을 원만하게 하려면 술이 싫어도 한두 잔 정도는 마셔줘야 한다'는 질문에 대한 지표점수도 같은 기간 80.6점에서 73.3점으로 떨어졌다.

직장갑잘119 이상운 노무사는 "회식을 강요하거나, 회식에서 일방적으로 배제하는 행위는 분명한 직장 내 괴롭힘"이라며 "회식을 통해서만 소통과 단합이 가능하다는 고리타분한 관점을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