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중장년층 1인가구 증가세…사회·경제활동 비율 낮아

동북지방통계청 지역 중장년층 1인가구 특성 분석
40~64세 중장년층 1인가구 비중 대구 39.8%, 경북 37.3%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3 중장년·어르신 희망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경북지역 중장년층 1인가구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19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중장년층 1인가구 특성 분석'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대구 전체 1인가구 중 중장년층(40~64세)이 차지하는 비중이 39.8%로 가장 높았다. 2015년 대비 증감율을 보면 중장년층 1인가구는 20.8% 증가한 반면, 중장년층 2인이상 가구는 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 역시 1인가구 중 중장년층 비중은 37.3%로 가장 많았다. 지난 2015년과 비교했을 때 2020년 기준 경북지역 중장년층 1인가구는 29.8% 증가했다. 같은 기간 2인이상 중장년층 가구는 1.9% 줄었다.

대구 중장년층 1인가구가 혼자 사는 이유로 본인독립(37.6%), 본인직장(25.9%), 가족사유(23%), 사별(10.7%) 순으로 조사됐고, 혼자 산 기간은 5년 이상(63.4%)이 가장 많았다.

경북의 경우 중장년층 1인가구 사유로 본인직장(37.1%)이 1위를 차지했고 본인독립(26.9%), 가족사유(21.2%), 사별(11.6%) 등이 뒤를 이었다. 혼자 산 기간은 5년 이상이 61.7%를 차지했다.

대구 중장년층 1인가구의 경제활동 비율(66.4%)은 2인이상 가구 중장년층(69.8%)보다 3.4% 포인트(p) 낮았다. 1인가구의 사회활동 비율(26.4%)도 2인이상 가구 중장년층(33.3%)보다 6.9%p 낮았다.

경북 중장년층 1인가구의 경제활동 비율(71.8%)은 2인이상 가구 중장년층(72.7%)에 비해 0.9%p 낮았다. 1인구가 사회활동 비율은 30.5%로 2인이상 가구(37.5%)보다 7%p 떨어진다.

중장년층 1인가구 가운데 건강상의 문제로 일상활동 시 어려움을 겪는 '활동제약'이 있는 중장년층 1인가구 비중은 대구가 6.9%, 경북은 5.6%로 2인가구와 비교하면 각각 3.7%p, 2.2% 더 높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