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 부산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실패에 "유구무언"이라는 평을 남겼다. 반도체 경기에 대해선 "바닥을 벗어나고 있는 단계"라고 진단했다.
최 회장은 18일 오후 대한상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산 엑스포 유치전에 대한 소회를 묻자 "열심히 뛴다고 뛰었는데, 결과가 이렇게 돼서 송구스럽다. 솔직히 패자는 유구무언"이라고 했다.
부산 엑스포 공동유치위원장을 맡았던 최 회장은 "(유치 활동 과정에서) 새로운 시장을 접촉하고 개척한 것은 기업들이 지속할 필요가 있다"며 "들어간 비용이나 노력이 너무 헛되다, 이렇게 생각하실 이유는 없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하는 해외 순방 등의 행사가 지나치게 잦다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는 "경제인 입장에서 보면 주요 나라나 시장에서 다 같이 존재감을 보이는 것은 브랜드 효과 측면에서 꽤 괜찮다고 본다. 그 나라에서도 우리를 상당히 높게 평가할 것"이라며 "순방은 어느 정부에서나 항상 해왔던 일이며 너무 많아 문제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단지 특정인이 계속 가는 방법론은 잘 나눠서 간다든가 여러 가지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속칭 회장이 꼭 가지 않아도 되는 문제들은 기업의 다른 사람이 간다 해도 큰 문제가 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경기는 "바닥을 벗어나고 있는 단계"라고 진단했다. "전체적인 회복보다는 일부 품목의 수요가 전체 마켓을 끌고 가고 있다"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메모리의 경우 디(D)램은 나아지고 있지만, 낸드는 아직도 잠자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내년 경기는 "하반기 회복"을 예상했다. 그는 "긍정적·부정적 사인이 다 있는데, 전체적으로 보면 약간 회복되는 방향으로 보고 있다"면서 "중국 경기가 얼마나 빨리 회복되느냐가 단기적으로는 가장 큰 변수인데, 현재로썬 내년 말 회복세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최근 주요국의 '반도체 자립화' 움직임에 대해서는 "전체 반도체 시장이 하나였을 때처럼 수급 밸런스가 잘 맞는 형태로 흐르기가 꽤 어려운 상황"이라며 "자칫하면 과잉 투자 때문에 상당히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대중국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서는 "생존의 문제로 접근할 문제"라고 짚었다. 최 회장은 "미국과 중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략을 펼치는 나라는 없다. 지금도 미국 기업이 (우리보다) 훨씬 더 중국을 많이 방문해 투자하고 움직인다"고 말했다. 이어 "(대중국 비즈니스는) 정치나 안보, 감정상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는 이성적 게임"이라며 "설사 중국의 영향도를 줄인다 해도 상당히 시간이 필요하며 분야도 잘 골라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7일 SK그룹 인사에서 자신의 사촌동생인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에 선임된 것에 대해서 "혈연관계만 볼 게 아니라 전문적 커리어나 나이, 위치로 보면 충분히 맡을 수 있는 자리"라며 "너무 많은 해석을 집어넣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앞으로 잘하는지 못하는지를 보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