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의 네이처리퍼블릭 부지가 21년째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 타이틀을 유지했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1위는 9년 연속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이 차지했다.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전국 표준주택·표준지 공시지가에 따르면 이명희 회장 자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285억7천만원으로 올해(280억3천만원)보다 1.9% 올랐다.
이 단독주택은 연면적 2천861.8㎡ 규모로, 2016년 표준 단독주택으로 편입된 이후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2위는 이해욱 DL(옛 대림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연면적 2천617.4㎡)으로 내년 공시가격이 186억5천만원이다. 올해보다 2.5% 상승했다.
3위는 삼성그룹 호암재단이 용산구 이태원동에 보유한 삼성그룹의 영빈관인 승지원(연면적 609.6㎡)이다. 내년 공시가격은 171억7천만원으로 올해보다 2.2% 올랐다.
4위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이 보유한 용산구 이태원동 주택으로 내년 공시가격은 167억5천만원, 3.0% 상승했다.
공시가격 상위 단독주택 10곳의 순위는 지난해와 변동이 없다. 10곳 중 7곳이 용산구에 있고 나머지는 강남구 삼성동 2곳, 서초구 방배동 1곳이다.
▶가장 비싼 땅은 서울 중구 충무로 1가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다. 내년 공시지가가 1㎡당 1억7천540만원으로, 올해보다 0.7% 상승했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의 공시지가는 코로나로 명동 상권이 타격을 받으면서 2년 연속 떨어졌다가 소폭 상승했다.
2위인 명동2가 우리은행 부지(392.4㎡)의 내년 공시지가는 ㎡당 1억7천400만원으로, 올해보다 0.8% 높아졌다. 3위인 충무로2가의 옛 유니클로 부지(300.1㎡)는 1억6천530만원으로 올해와 변동이 없다. 4위인 충무로2가의 토니모리(71㎡) 부지는 1억5천770만원으로 0.8% 올랐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업무 용지(662.2㎡)의 내년 공시지가가 1억1천930만원으로 3.6% 오르고,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업무용지(747.7㎡)는 1억1천910만원으로 1.5% 상승하면서 공시지가 상위 9위와 10위의 순위가 바뀌었다.
▶한편 2024년 표준지 공시가격(안)과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와 해당 표준지 및 표준주택이 있는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이날부터 열람할 수 있다.
의견이 있는 경우 다음달 8일까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에 의견서를 제출하거나 해당 표준지 담당 감정평가사(표준지), 한국부동산원 각 지사(표준주택), 시‧군‧구 민원실(표준지·표준주택) 등에 서면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소유자 및 지자체의 의견청취 절차가 마무리된 2024년 표준지 공시가격(안)과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달 25일 공시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