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고, 웃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 설비 경쟁 입찰 결과…해양풍력 발전 설비 규모 14배 증가해

산업부 "신재생 발전 방향서 해상풍력에 공감"

해양풍력 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해양풍력 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올해 태양광과 해상·육상풍력 발전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 경쟁 입찰 결과, 희비가 엇갈렸다.

해상풍력 발전의 경우 지난해 대비 14배 가량 규모가 커졌지만, 태양광과 육상풍력 설비 경쟁 입찰은 미달 사태를 맞았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올해 태양광 및 풍력발전 설비 경쟁 입찰 결과 태양광 60메가와트(㎿·175개), 해상풍력 1천431㎿(5개), 육상풍력 152㎿(4개)가 낙찰됐다.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풍력 설비 경쟁입찰 및 2023년 하반기 태양광 설비 경쟁입찰 결과는 한국에너지공단에서 20일 확정·통보했다.

해상풍력은 공고 물량 1천500㎿를 초과한 2천67㎿가 입찰했다. 최종 낙찰 규모는 1천431㎿이다. 태양광의 경우 공고 물량 1천㎿의 6.6%인 66㎿만 입찰했다. 이 중 60㎿가 낙찰됐다. 육상풍력은 400㎿ 공고에 379㎿ 입찰로 일부 미달됐다.

태양광은 장기 보증 계약 성격인 입찰 시장보다는 현물 시장의 시세가 더 높아 입찰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태양광 사업자들의 신규 투자가 위축된 것 아니냐는 질문에 "현물시장과 입찰시장 중 어느 쪽에 참여할지는 사업자들의 선택 문제로 신규 투자가 위축된 것은 아니다"라며 "현물시장이 현재 너무 좋아서 그리로 간 것"이라고 답했다.

이밖에 정부는 경쟁으로 비용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풍력발전 경쟁 입찰제도를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30년 풍력 보급 목표인 19.3기가와트(GW)를 감안해 공고량을 확대, 분리 입찰·평가를 진행했다. 이로 인해 올해 해상 풍력 낙찰량이 지난해 99㎿ 대비 14배 이상 커졌다. 설비 투자비만 해도 1GW에 5조원 이상 투입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 발전량을 채우기 만만치 않다"며 "태양광은 들어갈 부지가 적어서 향후 신재생 발전 방향에서 해상풍력이 많이 들어가는 데에 공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