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예산안에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예산이 반영되면서 대구시의 '대구로페이' 사업이 재추진될 전망이다.
24일 대구시에 따르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2024년 대구로페이 사업을 시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애초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을 반영하지 않았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의 효과가 지역에 한정되는 만큼 지자체가 재원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는 취지다.
정부는 지난 2018년부터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재정 지원을 이어왔다. 지역 경기 활성화를 위해 선별적으로 국비를 지원했으나, 코로나 19 이후 지원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정부의 지역사랑상품권 지원 예산은 지난 2018년 100억원에서 2021년 1조2천522억원까지 상승했다.
대구시는 올해 국비 114억원을 지원받고 시비 350억원을 더해 대구로페이를 운영했다. 국비 지원이 불투명해지자 대구시를 포함한 상당수의 지자체는 지역사랑상품권 사업을 중단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지난달 대구시의회에 제출한 내년 예산안에도 대구로페이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지방세 수입이 급감으로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예산안 규모를 축소한 여파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난 21일 여야 합의를 통해 국비 3천억원이 편성되면서 대구로페이 사업을 지속할 가능성이 열렸다.
서정혜 대구시 경제정책관은 "국회에서 지역화폐 예산을 새롭게 반영하면서 대구로페이에 대한 논의를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비 확보가 불확실하다 보니 본예산에는 제외됐지만 추경을 통해 반영할 수 있다. 지자체별 국비 지원 규모와 지침이 확정되면 내년 1분기 중에 대구로페이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특정 지역 내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상품권을 뜻한다. 대구시는 지난 2020년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대구행복페이'를 출시해 약 3년간 운영했고, 올해 7월 모바일 기반의 대구로페이로 전환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