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마트폰 이용자 절반 이상 5G 사용해…집전화 가입율 급감 중

2023 한국미디어패널조사…사용 시간 tv, 전화기, 컴퓨터, 종이매체 순

이동통신 5G. 연합뉴스.
이동통신 5G. 연합뉴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국민 절반 이상이 5G 이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통신비 지출도 4년 만에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발표한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주요 결과에 따르면 만 6세 이상 응답 패널의 98.3%가 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G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비율은 50.4%이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5G 스마트폰 보유율은 지난해 37.3%를 기록한 뒤 1년 만에 13%포인트(p)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LTE 스마트폰 보유율이 42.8%로 가장 높았지만, 올해는 35.6%로 감소했다.

신형 스마트폰이 대부분 5G 전용으로 출시되는 양상을 보일 정도로 4년 만에 5G 대중화가 현실화된 것이다.

이에 반해 일반 집 전화 가입률은 전년 보다 9.0%p 감소한 18.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휴대전화 평균 이용료가 올해 4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만7천600원 대비 600원 감소한 금액이다. 이처럼 통신비가 전년 대비 감소한 건 지난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서비스별 이용율도 변화가 있었는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58.1%, 인스턴트 메신저가 90.9%로 나타났다. 올해 국민들이 가장 자주 사용한 SNS는 인스타그램으로 지난해 대비 7.2%p 늘어난 48.6%의 이용률을 보였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이용률도 88.1%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7%p 증가한 이용률이다. OTT 서비스로 살펴보면 유튜브 77.5%, 넷플릭스 14.2%를 차지했다.

매체별로 평균 사용 시간을 살펴보면 TV 2시간58분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화기 2시간29분, 컴퓨터 1시간22분, 종이매체 32분의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미디어패널조사는 2010년부터 매년 진행하는 동일 표본 추적조사로 미디어 기기 보유 현황과 서비스 가입 및 지출 현황, 미디어 활용 현황 등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 대상은 4천77가구, 9천757명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