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중국산 전기차·배터리 관세인상 본격화…한국 산업계 대응은?

기존 25%→100% 상향 조정 예정
한국 완성차 기업 점유율 높아지면 부품사 낙수효과
배터리 업계도 실적 반등 기대

중국산 전기차 브랜드 지커 연합뉴스
중국산 전기차 브랜드 지커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대대적인 관세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 차부품 및 배터리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3일 블룸버그 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조 바이든 행정부는 오는 14일(현지시간) 예정된 대중 관세 발표를 통해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다. 또 2차전지 등에 대한 추가 관세 인상 시행도 앞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은 한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향후 관세 인상이 부품을 겨냥할 경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는 중국산 전기차·하이브리드차에 대한 관세를 20% 인상한다고 가정했을 때, 미국은 수출이 13.6% 늘어 가장 큰 수혜를 본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10%로 미국의 뒤를 이었다. 하지만 전기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20% 올리면 중국의 전기차 부품 수출이 23.9% 감소하고 한국의 전기차 생산도 4.1% 덩달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USITCS는 일본과 미국은 전기차 생산이 각각 2.7%, 1.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치는 지역 자동차 부품 업계에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한국 완성차 기업이 점유율을 높일 경우 부품사에서도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성산업단지 소재 자동차 부품기업 A사 대표는 "전기차 수요가 다소 주춤하지만 친환경차 전환은 계속될 것"이라며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에 미국 정부의 조치로 제동이 걸렸다. 잠재적인 경쟁자의 위축은 우리에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배터리 업계도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엘앤에프 관계자는 "하반기부터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미국으로 향하는 신규수주 물량이 많은 편이라 이번 조치가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한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양 진영 모두 한층 짙은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보이고 있어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근화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차장은 "미국이 대선을 앞두고 있지만 중국을 배척하는 기조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전기차·배터리 모두 중국 원재료 비중에 따라 추가 제재를 받을 수 있다.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