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배터리 한파에 SK온 희망퇴직·무급휴직 시행

SK온제공
SK온제공

국내 배터리 3사 중 하나인 SK온이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최대 2년간 학비를 지원하는 '자기개발' 무급휴직도 진행한다.

SK온이 희망퇴직과 무급휴직을 실시하는 것은 2021년 출범 이후 처음으로,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26일 산업계에 따르면 SK온은 이날 전 구성원에게 희망퇴직과 자기개발 무급휴직 관련 '뉴챕터 지원 프로그램'을 공지했다. 희망퇴직 신청 대상자는 지난해 11월 이전 입사자로 확인됐다. SK온은 희망퇴직 신청자에게 연봉의 50%와 단기 인센티브를 지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구성원의 자기개발을 위한 무급휴직도 실시한다. SK온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위 과정(학·석·박사)에 진학할 경우, 2년간 학비의 50%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무와 관계가 있는 학위를 취득한 뒤 복직할 경우 나머지 50%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SK온은 "전기차 캐즘으로 사업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경영 효율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며 "구성원에게 자기개발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선택을 원하는 구성원에게는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온은 2021년 10월 출범 이후 2년 만에 글로벌 톱5 배터리 기업으로 성장했다. 출범 초인 2021년 4분기에 매출 1조원을 기록한 데 이어 연간 매출액은 2022년 7조6천억원, 2023년 12조9천억원 등으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국내 직원 수는 1천512명에서 3천593명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 둔화에 따른 공장 가동률 하락 및 헝가리 신규 공장 가동으로 인한 초기 비용 증가 등으로 올해 2분기 영업손실 4천601억원을 기록하며 출범 이래 11분기 연속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전사적으로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하고 흑자 전환 달성 시까지 모든 임원의 연봉을 동결하기로 했다. 임원 대상 각종 복리후생 제도와 업무추진비도 대폭 축소했다.

향후 SK온은 수요 개선과 원가 절감 활동을 토대로 하반기 중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수립했다.

사업 리밸런싱(구조조정)에 나선 SK그룹은 SK온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SK온과 SK이노베이션의 '알짜' 자회사인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을 합병할 계획이다. 합병 3사의 매출액 규모만 작년 기준 62조원에 달하며, 합병에 따라 매년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개선 효과는 5천억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