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기업 3곳 중 2곳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수출제조업 448곳을 대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6.3%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일시적 위험으로 인식한 기업(39.5%)이 가장 많았고 사업 경쟁력 저하 수준(23.7%), 사업 존속을 위협하는 수준(3.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큰 영향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32.6%였고, 반사이익(0.7%)이나 새로운 기회 요인(0.4%)을 기대하는 기업은 소수였다.
'경영 위험'으로 인식한 기업을 대상으로 피해 유형(복수응답)을 조사한 결과 환율 변동, 결제 지연 등 금융리스크(43.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37.3%), 해외시장 접근 제한·매출 감소(32.9%), 에너지·원자재 조달 비용 증가(30.5%), 원자재 수급 문제로 인한 생산 차질(24.1%), 현지 사업 중단 및 투자 감소(8.1%) 등의 순이었다.
주요 교역국별로 보면 대(對)중국 교역기업의 경우 해외시장 접근 제한·매출 감소(30.0%) 피해가 가장 컸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제약으로 수출이 대폭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러시아 대상 수출입 기업의 경우 환율 변동, 결제 지연 등 금융 리스크 피해(미국 30.2%, 러시아 54.5%)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유럽연합(EU)과 중동으로 수출입하는 기업은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 피해(EU 32.5%, 중동 38.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향후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에 따른 기업 차원의 대응 전략(복수응답)을 묻자 수출기업의 57.8%는 '비용 절감 및 운영효율성 강화'를 꼽았다.
대한상의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기업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규제 정책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의 전략산업 정책 강화에 대응해 첨단산업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대만해협을 둘러싼 양안 갈등, 북한 핵 위협 등 향후 우리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며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 시 단기적으로는 유가·물류비 상승으로 피해를 보는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바우처 등 정책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정부가 민관 협력을 통해 자원개발을 주도하고 핵심 원자재의 공급망 안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 '징역 2년 확정' 의원직 상실…검찰 "내일까지 출석 통보 예정" [영상]
[전문] 尹 "비상계엄, 야당 패악에 경고한 것…탄핵·수사 당당히 맞설 것"
문재인 "추위에 국민 고생 그만 시켜…탄핵 피할 수 없다"
'한동훈 암살 작전' 관련 김병주 의원실 "일부 사실 관계 확인, 증거인멸 방지 위한 긴급수사 요구"
한동훈 "尹 내란 자백한 것, '탄핵' 찬성해야"…친윤은 "뭐 하자는거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