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강제 교체 시도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 속에 무너져 내리던 국민의힘 당내 민주주의를 당원들이 살렸다. 후보 등록 전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에는 공감하면서도 상호 합의도 없이 정당성을 갖추지 못한 절차로 추진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당 주류 의원들이 '용병' 윤석열 전 대통령을 앞세워 정권을 교체한 뒤 반복됐던 '당 인사 찍어 내기' 흐름도 일단 멈춰섰다.
11일 보수 정가에서는 파멸을 향해 달리던 국민의힘을 당원들이 수렁에서 끌어냈다는 평가가 나왔다.
정치권 관계자는 "김문수·한덕수 단일화의 필요성과 시급성에 공감하던 당원들도 새벽 시간 1시간 동안 공고해 후보 접수를 하는 방식에 실망이 컸다"며 "김 후보가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하며 버티다 자칫 당이 대선 후보를 낼 수 없다는 불안 심리도 확산됐다"고 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김문수 대선 후보와의 협상 과정에서 무소속으로는 출마조차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낸 점 역시 '무임승차' 논란을 일으키며 당원 자존심에 스크래치를 냈다.
이제 정치권에 입문한 후보의 권력 의지가 지나치게 부족한 데다 '꽃가마'만 타겠다는 것으로 비춰진 셈이다.
결국 당원들은 대선 후보 교체 안건에 더 많은 반대 의견을 던졌다.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은 성명서에서 "당원 반대로 비대위의 후보 교체 결정이 부결된 것은 당의 상식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준 의미 있는 결론"이라고 했다.
이준석 전 대표 교체 등 윤석열 정권 들어 이어졌던 당내 특정 인사를 향한 당 주류 압박 시도가 실패한 사례로도 기록됐다.
보수 정가 관계자는 "나경원 의원 전당대회 출마를 저지하고 김기현 대표를 사퇴시키고 한동훈 비대위원장도 쫓아내려 한 게 친윤(친윤석열), 주류 의원들"이라며 "제왕적 총재 시절에서 벗어난 뒤 쌓아올린 당내 민주주의가 그들의 기득권 지키기를 위해 완전히 무너졌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선출된 경선 후보를 과격한 절차로 교체하려 한 것 역시 비슷한 맥락 아니겠느냐"며 "당원들이 땅에 떨어졌던 당내 민주주의에 인공호흡을 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 진행"
김문수 "야밤에 정치 쿠데타…법적조치 즉시 착수"
김무성 단식 중단…"후보 교체 비민주적, 동의 못해"
한덕수 전 총리, 국민의힘 전격 입당…"대한민국 기적 끝나선 안 돼"
국힘 비대위 "대선후보 교체' 안건 부결, 김문수가 후보…권영세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