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金 사상 첫 경기도지사 출신 맞대결, 도정 대표 성과는?

이재명, 청년배당·지역화폐 등 정책 민생·복지 분야서 두각
김문수, GTX에 역점, 판교 테크노밸리·고덕 등 기업 유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2일 경기 화성시 동탄 센트럴파크 음악분수중앙광장 유세장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2일 경기 화성시 동탄 센트럴파크 음악분수중앙광장 유세장에서 '세계1위 반도체 강국 도약!'이라고 쓰고 서명한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왼쪽)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2일 대구 서문시장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대선에서 양대정당이 내세운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후보가 모두 경기도지사 출신으로 관심을 모은다. 사상 첫 경기도지사 출신 대통령 탄생이 유력한 가운데 이들이 펼친 도정(道政)을 바탕으로 국정 향방을 가늠하는 시도도 역시 이뤄질 전망이다.

우선 2018년 당선 후 4년간 경기도를 이끈 이 후보는 기본소득 실험, 지역화폐, 복지 확대, 공공의료 강화 등 정책을 펼치며 이들을 전국적 의제로 부각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재임 기간 만 24세 청년에게 연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청년배당, 산후조리비 지원사업 등 다양한 형태의 과감한 복지정책을 도입해 시행했다.

이 후보는 경기도 거주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월 10만원씩 3년간 저축하면 지원금과 이자를 합해 1000만원으로 돌려주는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을 도입하기도 했다.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협조하지 않는 신천지 교단에는 강제 역학조사를 지시, 도민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이끌어냈다.

재선 경기도지사로 2006년부터 8년 동안 재임한 김 후보는 상대적으로 큼지막한 치적이 더 많다. 광역급행철도(GTX) 아이디어를 처음 내고 역점사업으로 추진, 산파 역할을 했다. 아울러 수도권통합요금제에 적극적으로 참여, 환승제도를 서울에서 경기권으로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판교에 테크노밸리, 평택 고덕 삼성전자 산업단지를 조성 등 기업유치 성과를 냈으며, 연중무휴 24시간 '언제나 민원실', 전철 안에서 민원을 처리해 주는 '민원전철365' 등을 운영하며 행정의 현장성 강화에도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