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경호 "尹 계엄 선포 계획 사전 인지 못 해"

18일 입장문 발표 "계엄 내용 미리 얘기 못해 미안하다며 통화 짧게 끝나"
"계엄해제안 표결 관련 이야기도 없었어" 기존 입장 재차 확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월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매일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월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매일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 측이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최근 보도에 대해 "계엄해제안 표결 관련 이야기는 없었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추 전 원내대표 측은 18일 입장문을 통해 "당시에도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발표 내용을 간단히 전하며 미리 얘기 못해 미안하다고 말하며 짧게 통화가 끝났다는 사실을 언론에 여러 차례 말씀드린 바 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어 "일각에서 제기된 의혹처럼 윤 전 대통령이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 방해를 지시했고, 추 전 원내대표가 이를 실행하려 했다면, 국민의힘 당사에서 대통령과 통화한 직후 국회로 의원총회 장소를 변경하지도 않아야 했고, 추 전 원내대표도 당사에 계속 머물면서 국민의힘 의원들을 당사로 모이게 해야 했다"고 꼬집었다.

여기에 "추 전 원내대표는 오히려 대통령과 통화 직후 '의총 장소를 당사에서 국회 예결위원회 회의장으로 변경'하고 당시 당사에 있었던 동료의원들과 함께 국회로 직접 이동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초 국회로 소집한 의총 장소가 당사로 바뀐 것은 (당초) 당 대표실에서 국회의 출입 통제로 최고위원회 장소를 당사로 변경함에 따른 것"이라며 "당일 자정 직후 의원총회 장소가 당사로 변경된 것은 경찰에 의해 한층 강화된 국회 출입 전면 통제로 여러 의원이 문제를 제기한 것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고도 말했다.

아울러 "추 전 원내대표는 12월 4일 0시 29분, 0시 38분 우원식 국회의장으로부터 두 번 전화를 받았다"며 추 전 원내대표가 본회의 개의와 관련해 우 의장에게 먼저 전화를 걸어 특정 시간을 먼저 언급하거나 30분 연기해달라고 했다는 주장을 전면 부인했다.

마지막으로 "일부 주장처럼 의원들을 고의로 당사에 머물게 하면서 표결을 방해하려 했다면, 국회의장에게 의원들의 국회 출입이 가능하도록 조치 요청을 하지도 않아야 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