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트럼프發 관세 충격파…중국·EU 성장 둔화, 한국도 '방심 금물'

1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은 이날 베이징을 방문 중인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장관을 만나
1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은 이날 베이징을 방문 중인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장관을 만나 "덴마크가 하반기에 유럽연합(EU) 순회의장국을 맡게 되는데, 중국은 EU와 대화·협력을 강화해 양자 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함께 추동할 용의가 있다"며 "덴마크가 이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사진은 베이징에서 만난 덴마크-중국 외교장관. 연합뉴스

중국과 유럽연합(EU)의 경제 성장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 여파로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중국의 지난달 산업 생산과 소비, 고정자산 투자 지표가 전월 대비 모두 둔화됐다"며 미중 무역갈등의 직접적인 영향을 지적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4월 산업 생산 증가율은 전년 대비 6.1%로 3월의 7.7%보다 1.6%p 떨어졌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 증가율은 전달보다 0.8%p 낮은 5.1%를 기록했다. 1~4월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도 4.0%에 그쳐 1분기(4.2%)보다 둔화됐다. 래리 후 매쿼리 그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현 수준의 관세가 유지된다면 향후 1년간 중국의 대미 수출이 30% 넘게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도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여파로 경제 성장 전망이 크게 낮아졌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발표한 봄철 경제전망에서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20개국)의 2025년 성장률을 기존 1.3%에서 0.9%로 하향 조정했다. EU 전체 성장률 전망도 1.5%에서 1.1%로 낮아졌다.

특히 독일은 수출 감소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보고서는 독일의 수출이 1.9% 줄며 성장 동력이 사실상 멈췄다고 밝혔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도 각각 0.6%, 0.7%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EU 무역담당 집행위원은 "무역 갈등과 글로벌 불확실성이 EU 경제에 지속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관세 갈등이 해소되거나 새로운 자유무역 협정이 체결될 경우 유럽 경제도 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영국과 EU는 이날 브렉시트로 인한 일부 무역 장벽 제거에 합의하며 불확실성 완화의 신호를 보였다.

이처럼 글로벌 주요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따른 성장 둔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 역시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수출 다변화, 내수 진작, 구조개혁 등 다각적인 대비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