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1천110만7천436명으로 이 중 외국인 관광객 수는 110만1천795명이다. 이는 전년 대비 전체는 12.6%, 외국인은 57.78% 증가한 수치다.
그 배경에는 근대골목과 동성로, 서문시장·서문야시장, 수성못, 동촌유원지 등이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은데다 맞춤형 관광정보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운영한 부분도 주효했다는 게 대내외 평가다.
이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대구문화관광해설사들의 활약이다. 대구문화관광해설사는 관광객들에게 지역 문화유산 및 관광자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특정 부스(동화사, 대구박물관, 도동서원 등 39개)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대구의 숨은 가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영어, 중국어, 일어 해설이 가능하며 인적 구성도 향토사학자, 전직 교사, 공무원 출신, 주부, 화가, 문인, 서예가, 성악가 등으로 다양하다.
대구문화관광해설사회는 총 138명인 대구문화관광해설사들의 모임으로, 회장은 대구MBC 구성작가 출신인 이무열(68) 씨가 맡고 있다. 2008년부터 대구문화관광해설사로 활동한 그는 매일신문과 대구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됐고 2010년엔 시인으로도 등단했다.
이 회장은 "대구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의 문화관광 해설 요청이 증가하는 걸 보면 인기가 많다는 반증 아니겠나"며 "관광객들에게 대구에 좋은 인상과 추억을 남겨줄 수 있도록 해설사들 모두 맡은 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광 해설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현장에서 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관광하는 것과 그냥 둘러보는 것은 확연히 차이가 있다는 게 이 회장 지론이다. 그는 "진정한 대구의 매력을 느끼고 싶다면 해설사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많은 질문을 했으면 좋겠다"며 "아는 만큼 보이고 두드리는 만큼 열리는 대구의 이야기 보따리는 풀면 풀수록 더 깊은 맛을 낼 것"이라고 했다.
대구 문화관광 발전을 위한 조언도 내놓았다. 새로운 관광코스 개발, 다양한 음식 소개, 숙박 시설 보완, 현장 의견 수집 등이 그것이다. 그는 "단순히 한번 왔다가 지나쳐 가는 곳이 아니라 두 번 세 번 다시 올 수 있는 대구로 만들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전문가들은 물론 현장을 잘 아는 해설사들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청취해 관광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문화관광해설사들에 관심과 지원도 당부했다. 이 회장은 "해설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각종 문화강좌 수강, 지속적인 보수교육, 문화유적지 현장답사 등이 필요하다"며 "해설사로서 자존감을 갖고 관광객들을 대할 수 있도록 대구시 등은 해설사 지원에 조금 더 관심을 기울여줬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기초수급자 낙인?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43만원' 금액 인쇄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