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통상 불확실성 확대로 양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통한 교역·투자 활성화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과 영국 간 FTA 개선을 위한 제5차 공식협상이 오는 11일까지 서울에서 열린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시작한 협상에는 권혜진 산업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과 아담 펜 영국 기업통상부 부국장을 각각 수석대표로 하는 60여 명의 양국 대표단이 참여한다.
양국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이후 한-EU FTA 수준으로 체결됐던 한-영 FTA(2019년 서명·2021년 발효) 현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양국은 기업이 활용하기 쉬운 수준으로 원산지 기준을 완화하고, 공급망·디지털무역 등 신통상규범을 도입하기 위해 2023년 11월 협상 개시를 선언한 이후 네 차례 협상을 진행했다.
정부는 이번 5차 개선 협상에서 ▷서비스 ▷투자 ▷디지털무역 ▷원산지 규정 ▷정부 조달 등 16개 분과에서 세부 협상을 진행해 주요 쟁점에 대한 양측 입장차를 좁히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권혜진 산업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은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FTA 체결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며 "한·영 FTA 개선 협상을 통해 양국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공동 대응하고 주요 산업에서 양국 간 교역, 투자,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