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실, 트럼프 '8·1 관세부과' 긴급 대책회의

이재명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와 주례 보고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와 주례 보고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낸 가운데, 대통령실이 긴급 대책회의에 나선다.

대통령실은 8일 오후 1시 30분 한미 통상 현안 관계부처 대책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의에는 김 실장 외에 대통령실에서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제3차장 및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이 참석한다.

관계부처에서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외교부 차관이 각각 자리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 발송으로 인한 상황 변화 여부를 비롯해 대미 관세 협상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에 대해 "이번 서한으로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에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 소셜'에 공개한 무역 관련 서한에서 "이 서한을 보내는 것은 미국이 상당한 무역적자를 감수하면서도 한국과의 협력을 계속하기로 한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귀국과 앞으로 나아가되, 보다 균형 잡히고 공정한 무역에 기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린 수년간 한국과의 무역 관계에 대해 논의해왔고, 이제는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정책, 그리고 무역 장벽으로 인한 고질적인 무역적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안타깝게도 양국 관계는 상호적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은 한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조치는 품목별 관세와는 별개이며 미국으로 보내지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적용된다고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에 반발해 우회 루트로 관세를 회피하거나 대응 조치에 나설 시 추가 보복도 예고했다. 그는 "관세 회피를 위한 환적(다른 나라를 거치는 방식)의 경우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