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에 선 과수 농가, 절벽 아래로 밀지 마라."
경상북도의회가 9일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추진 움직임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 경북도의회는 최병준 부의장(의장직무대리) 명의의 성명서를 통해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경북 사과 농가는 물론 국내 과수 산업 전반이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정부의 즉각적인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번 대응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농림축산식품부에 한미 통상협상 카드로 미국산 사과 수입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촉발됐다. 경북을 중심으로 사과 주산지 지자체와 생산자단체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선 가운데, 경북도의회가 신속히 입장을 정리하고 정부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경북은 전국 사과 생산량의 62%를 책임지는 절대적 주산지로 청송, 영주, 안동을 비롯한 1만8천여 농가가 1만9천㏊ 면적에서 사과를 재배하고 있다. 총생산액은 전국 1조3천769억원 중 약 8천247억원(60%)에 달해, 사실상 '사과 산업의 중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성명서에는 과수 농가의 절박한 현실도 언급됐다. 경북도의회는 "초대형 산불과 고령화, 이상기후, 생산비 급등 등으로 이미 벼랑 끝에 몰린 농가들에게 미국산 사과 수입은 절벽 아래로 내미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성명서를 주도한 경북도의회 신효광 농수산위원장은 "농민은 통상협상의 소모품이 아니다"라고 지적하며, "정부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하고, 명확한 입장을 공식 발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대한민국 대표 사과 주산지인 경북 청송군에서도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추진 움직임에 대한 반발 기류가 거세지고 있다.
심상휴 청송군의회 의장은 9일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조만간 정부 방침을 강력히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정부가 끝내 농민의 목소리를 외면한다면, 반대 의사를 행동으로 옮길 수밖에 없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심 의장은 이어 "청송 사과는 전국 최고 품질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대표 과일"이라며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청송 농민들의 생존권이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통상 협상의 카드로 미국산 사과 수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움직임에 사과 주산지 농민들은 물론, 지역 정치권에서도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청송군의회는 조만간 공식 입장을 밝히고, 정부의 수입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집단행동에 나설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