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장관 후보자들이 지명 후 세금이나 과태료를 뒤늦게 납부하는 사례들이 줄줄이 드러나고 있다. 다음 주부터 인사청문회가 예정돼있어 이같은 지각 납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실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최근 5년간 종합소득세 4건에 대해 '기한 후 신고'를 했다. 3건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인 지난달 25일에 납부했다. 강 후보자는 지난달 23일 지명됐다.
2020년도 종합소득세의 경우 종합소득금액 4천502만원 가운데 총결정세액 307만원, 차감납부세액 3만3천원이 신고됐고, 2021년에는 총결정세액 1천313만원, 차감납부세액 1만4천원, 2024년도는 총결정세액 1천268만원, 차감납부세액 4만7천원이다. 차감납부세액은 그간 내지 않았던 미납금을 의미한다. 2023년 종합소득세도 지난달 4일 신고돼 미납금은 18만원이었다.
강 후보자의 배우자 A씨의 경우 지난달 23일 종합소득세 213만원, 25일에 255만원을 각각 납부했다. 지난해분 종합소득세 납부기한은 올해 5월이었기 때문에 최소 한달 지각 납부한 것이다.
앞서 김민석 총리도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장모에게 현금으로 지원받은 약 2억원에 대해 뒤늦게 증여세를 납부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는 2017년부터 5년 치 지방소득세를 내지 않고 있다가 후보자로 지명된 직후에 납부했다. 김 후보자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정의당 노동본부장을 맡아 2천여만원의 추가 소득과 책 인세로 인한 수입이 생겼지만 이에 대해 제대로 신고·납부하지 않았다.
또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4년간 미납 중이던 선거비용 일부를 뒤늦게 납부했다.
권 후보자는 2018년 지방선거 당시 바른미래당 소속으로 경북지사에 출마했으나 이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돼 2021년 4월 대법원에서 징역형 집행유예 확정판결을 받았다. 이에 선거비용 2억7천만원을 반환해야 했는데, 납부하지 않고 있다가 지난 1일 후보자 지명 이후 5천만원을 반환했다. 권 후보자는 "재심을 받아본 뒤 판단에 따라 납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