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브라질의 관세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정부에 50% 관세 부과를 예고한 데 이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도 무역법 301조에 따른 불공정 무역 행위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이에 맞서 룰라 대통령 역시 미국에 같은 비율의 관세 부과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15일(현지시간) "오늘 우리는 1974년 제정된 무역법 301조에 근거해 브라질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다"고 밝히면서 디지털 통상 및 전자결제 서비스와 관련한 조처·정책·관행을 비롯한 브라질의 '부당한 무역 관행 여섯 가지'를 나열했다.
'슈퍼 301조'로 불리는 미 무역법 301조는 외국 정부가 차별적 관행을 보이는 상황에서 시정 절차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부과나 수입 제한 등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USTR이 꼽은 나머지 관행에는 ▷불공정하고 차별적인 관세 ▷반부패 간섭 ▷지식재산권 보호 부재 ▷미국 에탄올 제품 고관세 적용 ▷불법 산림 파괴 방지 미흡 등이 꼽혔다. 특히 디지털 통상에 대해 "정치적 언급을 검열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국 기업에 보복하거나 미국 기업의 브라질 내 서비스를 제한해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해 엑스(X·옛 트위터)에 2천860만 헤알(69억 원 상당)의 벌금 부과로 불거진 양국 간 갈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허위 사실 유포 관여 게시물을 삭제하라는 명령을 엑스가 따르지 않았다는 게 이유였다. 당시 허위 사실 유포 관여 게시물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과 관련된 것이었다. 2023년 1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 지지층을 중심으로 대규모 대선 불복 폭동이 있었고 소셜미디어에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는 게시물이 게재됐는데 엑스가 게시물 삭제를 거부했던 터다.
공교롭게도 트럼프 대통령과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관계는 브로맨스라 할 만큼 끈끈했고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정치적 롤모델'로 여긴다고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브라질 당국의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기소를 '마녀사냥'이라 비난하며 중단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브라질도 정면 대응하겠다는 자세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의 관세 폭탄 투하에 브라질도 같은 비율의 관세 부과로 응수할 수 있다는 법적 수단을 확보했다. 지난해 두 나라 간의 무역 규모는 900억 달러(124조 원 상당)로 미국이 74억 달러(10조 원 상당)의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제라우두 아우키밍 산업통상부 장관도 "우리 정부는 미국에 관세 개시일(8월 1일 예정)을 늦춰 달라는 요구를 하지 않을 계획이며 이달 말까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