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공단의 오리온전기가 최종부도를 내고 법정관리를 신청한 사태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경북·대구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함께 법원의 청산절차 결정에 따른 종업원들의 실직상태도 걱정된다.
우리의 바람은 구미시 등 지역기관들의 총체적인 노력에 둔다.
회생방책의 적극적인 활동과 한때의 관심이 아니라 정상궤도 진입까지 지원도 바란다.
법정관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순기능적인 모든 조치도 할 것이다.
오리온전기의 사태가 주는 교훈은 노사분규가 주는 파장을 실증적(實證的)으로 보였다는 점이다.
전국에서도 알아준 우량기업이 이 지경에 빠진 원인은 무엇인지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있는 것인지 치열한 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심각하게 대립한 노사분규가 가장 큰 원인이라면 해답은 정해져 있다.
노사의 한걸음씩 양보가 첩경이 아닌가. 회사가 망하면 노동자도 설 자리가 없다는 당연한 이치를 망각한 적이 없는지 자기성찰(省察)도 가져야 주위의 도움을 바랄 수 있다고 본다.
회사경영의 투명성 등의 전제는 당연하게 강조된다.
경영상태가 악화되었다면 고용의 감량 등도 인내할 일이다.
외국인들이 흔히 우리 노동시장을 놓고 지적하는 경직성에서 탈피못하면 여러과정을 거쳐 조업중단으로 치닫는 것은 예정된 코스라는 것은 지금까지의 경우를 봐도 그렇다.
현재 오리온전기는 석달치 임금 154억원과 지난해 희망퇴직자 등 500여명의 위로금 92억원을 제때에 지급하지 못한다니 노사간의 발상전환을 늦출 이유가 없다.
우선 회사를 살리는 것이 일자리 확보다.
산업별 노조체제의 대표적인 국가, 독일의 경제상황을 보면 노동운동의 방향은 어느정도 가늠할 수 있다고 본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0.2%, 올해 1/4분기 -0.2%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노동현장이 늘 강경발언이 대세를 휘어잡는 상황은 근본적인 해결에 별 도움이 안된다.
눈앞의 작은 이익은 잡을 수 있어도 장래 더 큰 분배에 멀어질 수도 있다.
회사살리기, 노사가 따로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