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왜곡 파동으로 한동안 주춤했던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다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한.일 정상이 지난 7일 회담을 통해 "과거 역사를 직시하고 이를 토대로 21세기 미래지향적 양국관계 발전을 위해 함께 전진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힘에 따라 가시적 조치로 대중문화 개방이 우선 시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도 이에 앞선 6일 "단계적으로 진행돼오다 역사교과서 및 신사참배 문제로 중단됐던 일 문화개방은 양국 관계의 특수성은 있지만 막아 보았자 큰 의미가 없다"며 개방 확대 조치를 암시했다.
일 대중문화 개방은 1998년 10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일을 계기로 단계적으로 진행돼오다가 2001년 7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시정 거부에 대한 대응조치로 다시 빗장이 걸렸다.
현재 공연과 출판시장은 완전 개방됐으며 영화.비디오.음반.게임.방송 프로그램 등의 분야는 부분 개방된 상태다.
이에 따라 영화와 애니메이션 작품은 국제 주요영화제 수상작에 한해 국내 개봉이 허용되고 있으며 일본어 음반과 비디오 게임물, 방송용 드라마.오락 프로그램 등의 개방은 금지된 상태다.
그러나 추가 개방이 시행되더라도 국내 산업 경쟁력 등을 감안, 선별적 개방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부 방침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방송, 가요 부문은 '개방확대'쪽으로,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은 '개방 제한'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과 성인영화 등은 일본 특유의 엽기적 구성과 세련된 화면으로 경쟁력 있는 상품이어서 개방 외풍을 막기는 역부족, 후순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이에 비해 방송은 지난해 '프렌즈'(MBC프로덕션.일본 TBS)와 '소나기 비 갠 오후'(MBC.후지TV) 등 드라마와 오락프로그램인 '쇼 일요천하-라스트 스테이지'(SBS.NTV)가 한.일 합작으로 제작돼 개방 후 교류 확대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등 비교적 빠른 행보가 예상된다.
문화부 관계자는 "일본대중문화 개방 확대 표명은 기본 원칙에 따라 이제까지 해온 것들을 계속해 밀고 나아간다는 의미"라며 "양국 모두에 도움이 되고 한국 문화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문부터 개방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협기자 ij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