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하철 7개항 안전점검

오는 16일 성당못역에서 방재 실험이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대구지하철 종합 안전점검이 7개 분야로 나뉘어 실시되고 있다.

대구지하철공사에 따르면 대구시와 희생자대책위는 지난달 16, 17일 협의를 거쳐 종합안전점검단을 구성키로 했으며, 분야별 양측 1명씩 14명의 전문 점검자를 선정하고 참관인 6명도 지정한 뒤 지난달 22일 분야별 점검 계획을 논의했다.

7개 분야는 △전기.전력시설 운영.관리 △운행 중 비상시 대처 △전동차 내화성 △역사(驛舍) 방재(연무실험 2회 및 소방훈련 1회) △신호.통신 시설 △교육.훈련 △안전 인력(1인 승무의 문제점 및 역무인력 적정성) 등이다.

전동차에 실제 불을 질러 상황을 확인하는 절차를 내화성 점검에 포함시킬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점검 계획에 따라 전기.전력시설 운영.관리 점검은 지난 10일 완료됐고, 역사 방재 점검, 열차 비상시 대처 점검, 전동차 내화성 점검 등은 시작됐거나 곧 시작될 예정이라고 관계자가 전했다.

16일 오후 2시부터 20분 동안 지하철1호선 성당못역에서는 시민 참여 속에 지하철화재 소방훈련이 열린다.

이날 오후 1시50분까지 대곡역에 와서 1147호(대곡발 13시53분) 전동차를 타면 비상 인터폰 작동, 비상출입문 개폐, 승객 대피 요령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역사 방재 분야 점검팀에 속한 대구보건대 소방안전관리과 최영상 교수는 "스프링클러, 피난유도등, 환기.제연 설비 등의 작동을 점검하고 화재 발생 때의 상황을 가정한 연기 피우기 실험을 통해 승객들의 비상탈출로 확보 상태 등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점검은 대구시.건교부.시민단체가 대구지하철에 대한 종합안전점검을 공동으로 실시하기로 지난 4월1일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그에 앞서 건교부는 3월25일까지 6개 분야 35개 항목을 점검한 뒤 "대구 지하철운행을 중단할 만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가 시민단체 및 희생자대책위의 반발을 사 철회한 바 있다.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