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6월 21∼24일 서울에서 제15차 장관급 회담을 개최하기로 했다.
또 6·15 남북공동선언 5주년을 기념해 다음달 15일 평양에서 열리는 민족통일축전 행사에 장관급을 단장으로 하는 남측 대표단이 참가하며, 남측이 북한에 지원하기로 한 비료 20만t은 21일부터 수송하기로 했다.
남북은 19일 개성 자남산 여관에서 속개된 실무급 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3개 항의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우리 측이 심혈을 기울였던 한반도 비핵화원칙과 북한의 6자회담 조기 복귀 등 북핵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해결방안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북측의 완강한 반대로 공동보도문에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는 문구만 담은 채 구체적인 내용을 담지 못했다.
남측 수석대표인 이봉조(李鳳朝) 통일부차관은 회담이 끝난 후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함으로써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를 표명했다"고 회담 타결의 의미를 평가했다.
그러나 북측 대표인 김만길 조국평화통일 서기국 부국장은 "핵문제는 우리도 평화적으로 해결하자는 입장이다.
6자 회담에 복귀할 뜻도 있다"면서도 "다만 미국이 조건과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남북은 또 이번 회담에서 경제협력추진위원회, 장성급회담, 이산가족 상봉행사, 경의-동해선 도로개통 문제 등 여타 남북간 현안에 대해서도 협의를 했으나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다음달 열리는 장관급회담에서 협의를 계속하기로 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金-韓 단일화 2차 담판도 파행 …파국 치닫는 '反이재명 빅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