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내달 중순 총리를 포함해 복수의 장관들을 교체하는 중폭의 개각을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총리 후보군에 대한 검증이 진행 중이고 더불어민주당이 일부 장·차관들에 대한 내년 총선 차출을 청와대에 요청할 것으로 보여 개각 폭이 더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 임기 전반기엔 코드 인선과 부실 검증에 따른 인사 실패로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 장관 후보자에 대한 부실 검증으로 인사 참사가 빚어진 것은 물론 하자투성이 인사를 법무부 장관에 임명한 탓에 나라가 둘로 갈라졌다. 여기에 총리와 장관들은 대통령과 청와대 눈치만 봐 존재감이 없었다. 청와대 참모진의 오만·독선도 문제였다. 국민 대다수가 임기 전반기에 대해 낙제 수준 점수를 준 것은 국정 최고책임자인 문 대통령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의 잘못도 크다.
임기 후반기 첫 개각에서는 전반기 인사 실패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똑같은 잘못을 반복할 가능성이 커 걱정이다. 총리와 장관 하마평에 오르는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기대보다는 실망이 앞서기 때문이다. 인사청문회 통과를 염두에 둔 탓인지 대부분 여권 정치인들이 거론되고 있다. '위장된 보은성 인사'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까지 제기되는 실정이다. 각계각층의 인사를 데려와도 모자랄 판에 정치 외에 현장 경험이 부족한 인사들이 내각에 대거 진입하면 국정을 제대로 이끌어가기 어렵다.
문 대통령 임기 전반기를 통찰해 보면 정치, 경제, 외교·안보, 대북 문제, 국민 통합 등 국정 모든 분야에서 국민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반기에는 국정 기조의 대대적인 쇄신이 절실하고, 개각과 청와대 참모진 개편 포인트도 여기에 맞추는 게 마땅하다. 후반기마저 인사 실패가 반복된다면 국정 쇄신은커녕 국정 동력 확보조차 기대하기 힘들다. 능력과 도덕성에 기초한 탕평 인사로 총리와 장관을 임명해야 한다. 그와 함께 이들에게 권한을 대폭 줘 더는 '청와대 정부'란 비판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