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한복·자수문화 남북 공동 유네스코 등재 추진

20일 남북 한복·자수문화 교류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경북도청 신청사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신청사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와 상주시가 한복·자수문화의 남북 공동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한다.

경북도는 20일 도청에서 상주시, 한복·자수문화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남북 한복·자수문화 교류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용역은 북한의 전통 복식 및 남북의 한복·자수 문화 비교 등 다양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남북 의복 문화의 동질성을 국제사회에 홍보하고 그 가치의 재조명도 노린다.

이날 보고회에선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 사업의 최근 경향 및 심사 방향 ▷의복·자수문화 관련 국내외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 사례 분석 ▷남북 한복·자수 문화 변화 및 비교 분석 ▷남북 한복·자수문화교류 및 유네스코 공동 등재 가능성 등 한복·자수 문화를 통한 남북 교류의 방향이 제시됐다.

경북도는 한복이 전통문화에서 생활 속 우리 옷으로 일상화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내년 한복진흥원 개관과 연계하고 10월에는 '한복의 날'에 전시회 및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

20일 경북도청 회의실에서 열린 남북 한복·자수문화 교류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한복·자수문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20일 경북도청 회의실에서 열린 남북 한복·자수문화 교류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한복·자수문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한복은 한옥, 한식과 더불어 우리 전통문화의 핵심 요소로서 남북 문화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경북도는 남북 공동 유네스코 등재 노력을 계기로 앞으로 한복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까지 확대, 우리 전통문화의 세계화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국가 무형유산보호 협약 가입, 유네스코에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신청서 제출 등의 절차를 거쳐 정부간위원회가 최종 결정(매년 11~12월)하게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