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 정상회담 이후 발표된 공동성명에서 대만 문제가 처음 언급된 것을 놓고 중국 정부가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대만 문제는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는 중국 정부가 가장 민감해하는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미중 갈등 속에서 그동안 중립적 태도를 유지하던 한국 정부가 미국 쪽으로 기우는 것을 경계하는 모양새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공동성명 내용에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만과 남중국해 문제가 공동성명에 들어간 것을 비판하며 "대만 문제는 순수한 중국 내정"이라면서 "어떤 외부 세력의 간섭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자오 대변인은 특히 "관련 국가들은 대만 문제에서 언행을 신중해야 하며 불장난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남중국해와 관련해서는 "각국이 국제법에 따라 남중국해에서 항행과 비행의 자유를 누리고 있으므로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21일(현지시간)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한미 양국이 공동성명에서 대만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양국은 아울러 "우리는 남중국해 및 여타 지역에서 평화와 안정, 합법적이고 방해받지 않는 상업 및 항행·상공비행의 자유를 포함한 국제법 존중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고 명시했다.
이날 자오 대변인이 밝힌 중국 정부의 입장은 지난달 미국·일본 정상회담 때보다는 강도가 약하다. 미일 공동성명에선 대만 문제 외에도 홍콩과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티베트, 남중국해,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 등도 거론됐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이례적으로 토요일 오후에 입장문을 내고 "중국 내정을 거칠게 간섭하고 국제관계 기본 준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었다.
한편 자유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대만은 24일부터 내달 1일까지 9일간 화상으로 진행되는 제74차 세계보건총회(WHA) 연례회의 참석이 무산됐다. WHA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대만의 이번 회의 참석을 둘러싼 양측 대결에서 중국이 미국에 판정승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만은 중국과 관계가 좋았던 2009∼2016년에는 옵서버 자격으로 WHA에 참가해왔으나 탈중국 성향의 차이잉원(蔡英文) 정부가 들어선 뒤 중국의 반발로 2017년부터 참석하지 못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딱풀 공문" 공수처 관저 출입 공문 위조 의혹…공수처 "위조 NO"
"중국 공산당 100주년 행사에 왜 민주당 기가 있죠?"
권영세 "尹 체포, 대한민국 법치주의 흑역사로 기록될 것"
尹 대통령 육필 편지 공개…"비상계엄은 헌법 수호 위한 것" [영상]
尹 "부정선거 있다" 주장에…선관위 "수용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