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도세자 태실 그린 '장조 태봉도' 보물 지정…예천 효자면 담아내

지도식으로 그린 산수도 특징

장조 태봉도. 문화재청 제공
장조 태봉도. 문화재청 제공

경북 예천 효자면에 있는 사도세자의 태실과 주변 배경을 그린 '장조 태봉도'(胎封圖)가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26일 유례가 드문 조선왕실 태실 관련 그림인 장조 태봉도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된 장조 태봉도는 1785년(정조 9년) 제작된 것으로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1735〜1762·후에 장조로 추존)의 태실과 주변 풍경을 그린 산수도(山水圖)이다.

장조의 태실은 1735년 사도세자가 출생한 후 현재 예천군 효자면에 위치한 사찰인 명봉사 뒤편에 마련됐다. 1785년 사도세자로 추존됨에 따라 난간석과 비석 등 석물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전해진다.

장조 태봉도. 문화재청 제공
장조 태봉도. 문화재청 제공

그림 속 장조 태실은 여러 산봉우리가 에워싼 타원형 구도 속에 있다. 그림 상단에는 뾰족한 원각봉이 그려져 있다. 가운데에는 명봉사와 문종태실을 배치해 있고 그 위로 사도세자 태실인 '경모궁 태실'을 그렸다.

장조의 태실은 이중으로 된 연꽃지붕이 있는 개첨석에 팔각 난간석이 둘러져 있다. 앞쪽에는 거북형 받침에 표석이 있다.

장조 태봉도는 좌우 사방으로 펼친 듯한 구도와 주요 장소에 지명을 써 놓은 방식, 줄지어 있는 삼각형 모양의 산들, 짙은 먹으로 거칠게 표현한 봉우리 등 그림을 지도식으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예천군 관계자는 "옛 예천의 모습이 담긴 장조의 태봉도가 보물로 지정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태실 주변과 인근에 있는 명봉사는 가을 풍경이 빼어난 곳으로 단풍놀이 명소로 꼽히는 곳인 만큼 이번 보물 지정을 계기로 많은 발걸음이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