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번 주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6곳이 고금리로 기업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최근 금리 인상의 영향과 기업의 대응 실태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대한상의가 이달 2∼8일 국내 제조기업 307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업이 61.2%(어려움 매우 많다 26.7%·어려움 많다 34.5%)에 달했다. 보통이라는 응답 비율은 26.1%, 어려움이 없다는 비율은 12.7%였다.
금리 인상에 따른 어려움(복수 응답)으로는 '이자 부담에 따른 자금 사정 악화'(67.6%)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설비투자 지연 및 축소'(29.3%), '소비위축에 따른 영업실적 부진'(20.7%) 등 순이었다.
영업이익과 생산·운영비용을 고려할 때 기업이 감내할 수 있는 금리 수준을 묻자 3.00%라고 답한 기업이 41.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재 금리 수준인 2.50%를 꼽은 기업도 23.1%에 달했다. 전체 응답 결과의 가중평균값은 2.91%였다.
대한상의는 "원자잿값과 환율 급등에 따른 고비용 경제구조 속에서 이자 비용 부담까지 떠안은 기업의 위기감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며 "현재 기준금리(2.50%) 수준에서도 시중 대출금리가 5∼6%를 넘어서고 있는데, 기준금리가 3.00%를 넘어서면 시중금리는 7∼8% 이상이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또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7.6%)이 최근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빠르다고 체감했다.
기업들은 이런 금리 인상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인상이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38.8%로 가장 많았다. '내년 연말'(17.6%) 내지는 '2024년까지'(8.5%) 이어질 것을 전망한 기업도 적지 않았다.
이런 고금리 상황에서 기업 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한 기업은 20.2%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10곳 중 1곳만이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답했다.
또 최근 금리 상황과 관련 금융당국에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고정금리 전환 지원'(34.9%)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상환유예 연장'(23.5%), '금리 속도 조절'(22.1%) 등이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권성동 구속 직후 페북 입장문 "민주당, 피냄새 맡은 상어떼처럼 몰려들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