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 출제위원장 "EBS 연계 높였고, 선택과목 유불리 최소화"

박윤봉 출제위원장
"교육과정 수준·내용 충실 반영, 졸업생 비율 고려해 난도 산정"

박윤봉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위원장(충남대 교수)가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방향을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문성 수능검토위원장,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박윤봉 수능 출제위원장. 연합뉴스
박윤봉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위원장(충남대 교수)가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방향을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문성 수능검토위원장,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박윤봉 수능 출제위원장. 연합뉴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시험) 출제위원장인 박윤봉 충남대 교수는 올해 수능시험에서 예년 출제 기조를 유지했으며, 선택과목별 유불리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17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수능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능력을 측정할 수 있게 출제했다"며 "올해 두 차례 시행된 모의평가 결과 분석을 토대로 예년 출제기조를 유지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교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며 "교육과정 핵심 내용의 경우 기존 시험에서 다뤄졌더라도 필요하다면 질문 형태와 문제 해결 방식을 바꿔 문제를 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수능 난이도가 너무 높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지난해부터 EBS 연계율 비중이 축소된 부분이 '불수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판단했다"며 "이번에는 '체감 연계도'를 올리기 위해 노력했다"고 했다.

EBS와 똑같은 지문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소재와 내용을 담은 지문을 통해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는 것.

올해 수능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지며, 수험생들은 국어와 수학영역에서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을 치르게 된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선택과목별로 받을 수 있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달라 유불리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에서는 과목별 난이도의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졸업생 비율이 늘어난 점도 출제에 고려됐다. 올해 수능에서 졸업생 및 검정고시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31.1%로, 이는 2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다.

박 위원장은 "졸업생의 경우 1년 더 준비하는 기간을 가져 훨씬 더 잘 준비가 된 학생들"이라며 "이 학생들이 상위권 비율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데 모의평가를 분석해 졸업생 가중치로 난이도를 산정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