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경시가 추진하는 문경대학교와 숭실대학교의 통합에 조건 없이 앞장서겠다던 신영국 문경대학교 총장이 통합이 성사단계에 이르자 반대 입장으로 돌아서 지역사회에 파장이 일고 있다.
신 총장은 지난 14일 문경시청 앞에서 통합을 반대한다는 1인 시위를 벌였다.
앞서 신 총장은 지난 9월 20일 문경시로부터 대학기숙사건립비 34억원을 지원 받기 위해 문경시의회 예결위에 출석 "양 대학의 통합은 학교도 좋고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거니 조건 없이 동의하며 시장과 상의하던 안하던 오히려 내가 앞장서 노력해야 될 일이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기숙사건립 예산 승인을 받은 후 신 총장은 "지난 선거 때 신현국 시장의 양 대학 통합 공약을 표를 얻기 위한 선거용으로 생각했다"며 "통합을 하려면 양 대학 간에 (주고받는)거래 등이 있어야 된다"고 태도를 바꿨다.
문경대학은 지난 1995년 3선 국회의원 출신인 신 총장이 설립한 이후 지금까지 재단 측의 소극적인 투자 등으로 경영난을 겪어 왔다.
신 시장은 지난 2010년 문경대학이 당시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구조조정평가에서 폐교위기에 몰리자 직접 해당부서를 찾아가 '문경시가 학교 재정지원을 약속 할 테니 제외시켜달라'고 설득해 관철시키기도 했다.
더불어 문경시는 2011년부터 올해까지 12년 간 학교지원금과 장학금, 기숙사건립비 등 282억원의 시민혈세를 문경대에 지원했다.
시민에게 고루 돌아가도록 해야 하는 혈세를 특정 사립대에 매년 24억원 가까이 지원한 것은 과도하다는 지적과 함께 '문경시립대학'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지난 지방선거 때 신 시장이 양 대학의 통합을 공약으로 내건 배경에는 4년제 수도권 대학을 유치해 인구 증가와 지역발전을 꾀하겠다는 목적이 내포돼 있었다.
신 총장의 대학통합 반대 소식이 전해지자 지역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문경시와 문경시의회가 특혜 논란에도 지역발전을 우선해 문경대에 파격적인 지원을 했음에도, 정작 문경대학은 총장이 지역발전 보다는 사익을 우선하는 것 같아 씁쓸하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중국 공산당 100주년 행사에 왜 민주당 기가 있죠?"
"딱풀 공문" 공수처 관저 출입 공문 위조 의혹…공수처 "위조 NO"
박정훈 "'파렴치한 잡범' 이재명의 청문회 제안한다…이재명의 막가파식 선동"
너무 조용한 민주당?…尹 대통령 체포 후 '역풍 우려'
尹 "부정선거 있다" 주장에…선관위 "수용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