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학생 38.2% 고등학생 27.2% "뚜렷한 희망 직업 없다"

희망 직업 1위, 초등학생 '운동선수' 중·고교생 '교사'

직업 관련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직업 관련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메타버스(가상세계) 등 온라인 기반 산업이 주목받으면서 컴퓨터 공학자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기를 꿈꾸는 중고교생이 늘어났다. 코로나19 여파로 대면 진로 수업과 상담이 제한되면서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들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6월 7일부터 7월 20일까지 전국 초·중·고 학생 2만2702명, 학부모 1만1천946명, 교원 2천8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한 '2022년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9.8%)였다. 운동선수는 2019년부터 초등학생 희망 직업 맨 윗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위는 교사(6.5%)로, 1년 전보다 한 계단 상승했다. 3위는 크리에이터(6.1%)로 조사됐다. 크리에이터는 2020년과 2021년 4위에서 상승했다.

중학생의 희망 직업 1위는 교사(11.2%), 2위는 의사(5.5%)로 작년과 동일했다. 다만 3위는 경찰관/수사관에서 운동선수(4.6%)로 바뀌었다.

고등학생의 희망 직업은 1위부터 5위까지 교사(8.0%), 간호사(4.8%), 군인(3.6%), 경찰관/수사관(3.3%),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3.3%)로 작년과 변함없었다.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지난해 3.25%에서 올해 3.32%로 선호도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뚜렷한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들은 초등학생 19.3%, 중학교 38.2%, 고등학교 27.2%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초등학생은 1.6%포인트 축소했지만, 중학교는 1.4%포인트, 고등학교는 3.5%포인트 각각 확대됐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관계자는 "2019년부터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 비중이 소폭 상승세인데, 코로나19 영향이 있다고 본다"며 "산업과 직업의 변화로 응답이 어려웠다는 학생도 있어 추후 지속해서 살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