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벤투 후임 누구?…뮐러 축구협 전력강화위원장 "모든 가능성 열어둘 것"

전문성·경험·동기 부여 등 5개 선임 가이드라인 공개
"감독 4년 맡기는 방안 선호"

미하엘 뮐러 신임 대한축구협회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하엘 뮐러 신임 대한축구협회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이클 뮐러 대한축구협회 신임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은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차기 대표팀 감독을 선임하는 데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둘 것"이라고 밝혔다.

뮐러 위원장은 최근 사의를 표한 이용수 위원장에 이어 국가대표전력강화위원장 임무를 소화하게 됐다. 차기 한국 축구 대표팀 사령탑 선임 과정을 총괄하게 될 그는 이날 부임 소감과 새 감독 선임에 대한 기준 등을 말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뒤 축구협회가 차기 대표팀 감독으로 국내 지도자를 선임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이번 뮐러 위원장의 선임으로 외국인 감독 가능성도 급부상하고 있다.

뮐러 위원장은 관련 질문에 대해 원론적인 답변을 내왔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채 정해 둔 가이드라인에 따라 절차에 맞게 새 감독을 선임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새 감독이 어느 나라에서 오는지 (지금) 난 답할 수 없다"면서 "어떤 절차를 거쳐 감독을 선임할 것인지, 새 감독으로 어떤 지도자를 고려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이 자리에 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 감독 선임에 대한 5가지 가이드라인도 공개했는데 ▷전문성 ▷경험 ▷동기부여 ▷팀 워크 ▷한국에서 생활 가능 여부 등이다.

차기 감독의 계약 기간에 관해서는 여러 변수가 있어 이 시점에 확답하기 어렵다면서도 자신은 다음 2026 북중미 월드컵까지 4년을 맡기는 방안을 선호한다고 했다.

뮐러 위원장은 "계약기간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는 협상의 결과로 확정해야 하는 사안"이라면서 "다만, 내 개인적인 의견은 장기 계약을 통해 성공적으로 관계를 맺는 게 훨씬 낫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뮐러 위원장은 2018년 4월 축구협회 지도자 교육 강사로 부임하며 한국 축구와 인연을 맺었다.

그해 10월부터는 한국 축구의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는 기술발전위원장을 두 차례 지냈다. 초등부 8대8 경기 도입 등 구체적인 성과를 내며 호평받았다.

한국에 오기 전에는 독일축구협회 지도자 강사, 독일 15세 이하(U-15)와 U-18 대표팀 코치, U-21 대표팀 스카우트 등을 역임했다.

축구협회는 뮐러 위원장 선임을 발표하면서 그를 '유럽의 선진 축구를 직접 경험했을 뿐 아니라 유소년부터 프로, 대표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축구의 환경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소개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