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라도 너무 올랐다"…고금리·고물가에 안 입고 안 먹는 시민들

의복 소매판매 7.6%↓ ·음식료 소비도 9.6%↓

서울 시내 전통시장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전통시장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가을 이후 우리 국민 소비가 5% 안팎으로 하락했다는 조사가 나왔다. 고물가·고금리 현상이 이어지고 고용 시장마저 냉기가 돌자 경제주체들이 이같은 상황을 이겨내기 위해 '안 입고 안 먹는' 방식을 선택한 탓이다. 이로 인해 한국 경제를 그나마 받치고 있던 내수마저 추진력을 잃어가고 있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지난 1월 기준 103.9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109.4)과 비교하면 5.03%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판매하는 2천 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분석한 결과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경상 판매액에서 물가 변동 요인을 뺀 불변 금액에서 계절·명절·조업일수 등을 모두 빼고 산출해 경제주체들의 실질적인 소비 수준을 볼 수 있다.

품목은 내구재(승용차·가전제품·가구 등 1년 이상 사용 가능한 고가 상품)와 준내구재(의복·신발·가방 등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 비내구재(음식료·화장품 등 1년 미만 사용 상품)로 나눠 조사했다.

지난해 가을 이후 준내구재 소매판매액 지수가 119.3에서 111.5로 6.5% 하락했다.

준내구재 가운데 의복의 판매액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 가을부터 올 1월까지 소매판매액 지수가 7.6% 급락했다.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진 고금리와 고물가 요인이 소매판매액 지수 하락의 원인으로 꼽혔다. 그동안 의복의 경우 일상적인 상황에서 그해 기상 여건의 영향을 받는 습성을 보여왔다.

지난해 11월 전년 동월 대비 5.5%로 의류·신발 물가 상승이 있었고, 올해 2월도 5.8%에 머물고 있다. 특히 연말·연초에 매출 상승이 몰리는 업종인 만큼 경제주체들이 옷을 안 사고 버티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것이다.

경제 주체들은 입는 것보다 먹는 것을 더 줄이고 있었다. 같은 기간 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지수는 9.6% 급락했다.

특히 소매판매액 지수 기준 시점인 2020년 코로나19 사태 때보다 식료품을 더 안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지수는 97.2로 100을 밑돌았다.

코로나19 일상 회복 이후 집밥보다 외식이 잦아지면서 음식료품 판매액이 줄어든 것도 아니었다. 같은 기간 음식·숙박업·서비스업 생산지수도 4% 가까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이 기간 동안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동월 대비 7.8%에 달했다.

이같은 상황이 발생하자 정부는 이르면 이달 말쯤 내수 진작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