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이뤄진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여야가 강도 높게 격돌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일본에 간 대통령이 국민 뜻대로 행동하지 않고 끝내 일본 하수인의 길을 선택했다"고 비판하자, 국민의힘은 나아가야 할 한일 관계에 발목을 잡지 말라며 맞받아쳤다.
이 대표는 18일 오후 서울시청 광장 앞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 규탄' 범국민대회에 참석해 이렇게 언급하고 "윤 대통령은 선물 보따리는 잔뜩 들고 갔는데 돌아온 건 빈손도 아닌 청구서만 잔뜩이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또 "강제징용 배상 청구권은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인권이다. 피해자 동의 없는 '제3자 변제'는 명백한 위법이다"며 "그럼에도 윤석열 정권은 '대위 변제'를 강행하고 있다. 일본 비위만 맞춘다면 무슨 일이라도 하겠다는 굴욕적 태도"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또 "윤석열 정권은 강제동원 배상 해법과 지소미아(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원상복구를 통해 한일 군사협력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한반도에 항구적 위협이 될 일본의 군사 대국화와 평화 헌법 무력화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자위대가 다시 한반도에 진주하지 않을까, 한반도가 전쟁의 화약고가 되지 않을까 두렵다"며 "이런 굴욕과 안타까움을 지켜볼 수 없다. 싸워서 막아야 한다"고 했다.
또 이 대표는 "국민을 거역한 이 무도한 정권을 그대로 두고 볼 수 없다"며 "피해자의 상처를 헤집고 한반도를 (강대국) 진영 대결의 중심으로 몰아넣는 이 굴욕적인 야합을 주권자의 힘으로 반드시 막아내자"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이 대표와 민주당이 한일 양국 간의 새로운 미래를 외면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김예령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한일 관계는 여러 요소를 감안해야 하는 까다로운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일시적으로 비판이 있어도, 그것을 감수하며 더 나은 미래를 나아가야 한다"며 "(민주당은) 한걸음 나가야 할 한일 관계 발목을 잡지 말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새로운 한일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시대적 소명을 갖고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이끌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일본 총리도 이 선언을 계승하기로 했다"며 "과거의 민주당과 현재의 민주당이 한일 관계에 다른 시각을 갖는 것은 외교에 있어 시대착오적"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또 "민주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살아 계셨다면 각종 '비리 종합선물세트'인 이 대표에 대해 어떻게 하셨을지 생각해보기를 바란다"며 "이제는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가 김 전 대통령의 유지를 이어 암흑의 과거에서 실질적인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한 한일 관계를 만들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