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 성추행 의혹이 불거진 뒤 극단적 선택을 한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묘 이장이 1일 새벽에 끝난 것으로 확인됐다.
애당초 유족은 이날 오후 3시에 경남 창녕군에 있던 박 전 시장의 묘를 '민주화 운동 열사들의 성지'로 불리는 경기 남양주 모란공원으로 이장하려 했는데, 해당 내용이 알려지자 여론을 의식해 기존 계획을 바꾼 것으로 풀이된다.
모란공원 관계자는 복수의 언론을 통해 "오전 8시 직원들이 출근해 보니 박 전 시장의 묘 이장은 다 끝나 있었다. 유족들도 가고 없었다"고 말했다.
경남 창녕군 장마면에 있던 박 전 시장 묘에서 유해를 수습해 경기 남양주 모란공원으로 이장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묘 이장 작업은 새벽부터 추진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2020년 비서 성추행 의혹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박 전 시장은 같은 해 7월 고향인 경남 창녕 선영에 묻혔다.
그러다 이듬해 9월 한 20대 남성이 '박 전 시장은 성추행범으로 나쁜 사람인데, 편히 누워 있는 게 싫었다'며 삽으로 묘소를 훼손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유족들은 박 전 시장 묘를 모란공원으로 이장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모란공원에는 청년 노동자 전태일 열사를 비롯해 서울대생 박종철 열사, 인권 변호사 조영래 등 40여년간 민주화운동을 하다 희생된 민주 열사들의 묘역이 있다.
하지만 여성단체들은 박 전 시장 묘의 모란공원 이장은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라는 입장이다. 성범죄 의혹이 불거졌던 박 전 시장이 민주화 운동 열사들의 성지로 불리는 모란공원으로 가는 게 적절하지 못하다는 판단이다.
다만 모란공원은 사설 묘역이라 유해 안장에 대한 별다른 조건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모란공원 측은 조선일보를 통해 "여기는 일반 공원 묘지"라며 "민주화 열사들이 많이 모셔져 있어 외부에는 그렇게(민주화 운동의 성지) 알려진 측면이 있지만 유해 안장에 대한 기준이 따로 있거나 심사하는 곳은 아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또 "누구나 정해진 묘지 비용과 관리비를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박 전 시장 유족 측은 이장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모란공원 측에 이장 입장을 밝히고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