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석 달째 '경기둔화' 진단… "반도체, 경기 회복에 핵심"

기재부 최근 경제동향 발표… "제조업 중심의 경기 둔화 흐름"

연합뉴스.
연합뉴스.

정부가 현재 경제 상황을 석 달째 '둔화' 국면으로 판단했다. 경기 둔화의 원인으로는 반도체의 부진을 꼽았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중심의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정부는 올해 1월 한국 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판단한 이후 석 달째 같은 결론을 유지하고 있다.

경기 둔화라는 결론은 이어갔지만 이번에는 경기 둔화에 이르는 과정을 '제조업 중심'으로 적시했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현재의 부진은 제조업, (제조업 중에서도) 정보기술(IT), (IT 중에서도) 반도체라는 특정 부문으로 상당 부분 집중돼 있다"면서 "반도체가 수출과 전반적인 경기 회복에 가장 핵심 요소"라고 분석했다.

2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3.2% 감소했다. 3월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정보기술(IT) 제품 부진으로 작년 동월 대비 13.6% 줄었다.

내수 부문에 대해선 대면 활동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하게 회복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2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0.7%, 소매 판매는 5.3% 증가했다.

3월 소매 판매 속보 지표는 더 긍정적이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1년 전 대비 503.1% 늘었다.

작년 동월 대비 백화점 매출액 증가율은 7.2%로 2월의 5.2%보다 높아졌다. 신용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도 9.0%로 2월의 8.1%보다 확대됐다.

이어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다고 진단했으며, 고용시장에 대해선 취업자 수 증가 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주택시장은 매매 및 전세가격 하락 폭이 전월보다 다소 축소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중국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화 긴축에 따른 취약부문 금융 불안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 등 하방위험이 교차하며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