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을 앞두고 대구경북 정치권이 올해 정부가 발표할 각종 특구 공모에서 어떤 성적표를 받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특구 선정 여부는 국회의원의 지역발전 기여도 평가의 주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11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상반기 반도체, 2차전지 등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특화단지 공모 결과를 발표한다. 지역에서는 구미가 반도체, 포항이 2차전지 특화단지 최적지라고 공언하며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이에 구미와 포항 정치권은 특화단지 유치를 위한 물밑작업이 한창이다. 국민의힘 구자근(구미갑), 김영식(구미을), 김정재(포항북), 김병욱(포항남·울릉) 등 지역구 의원들은 국회 토론회는 물론 정부부처 등을 상대로 설득 작업을 벌이며 저마다 유치를 장담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글로벌 혁신 특구' 선정 계획을 발표하면서 대상이 되는 지역들도 들썩이고 있다. '하지 말라는 것 외엔 모두 허용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되는 특구인 만큼 선정 시 지역 경제에 미칠 파급이 적잖을 전망이다.
정부는 기존의 규제자유특구 중에서 일부를 글로벌 혁신 특구로 선정할 방침이다. 이에 배터리 분야의 포항, 의료용 대마(헴프) 분야의 안동(김형동 의원), 스마트 그린물류 분야의 김천(송언석 의원), 무선충전 분야의 경산(윤두현 의원) 등 기존의 규제자유특구 지역 정치권이 대상이 된다.
비교적 일찍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포항과 안동이 다수 실적을 내고 있는 만큼 글로벌 혁신 특구 선정에 유리하지 않겠느냐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올해 2, 3곳의 시범 지역을 선정할 예정이어서 결과에 따라 정치권의 희비도 엇갈릴 전망이다.
대구시 역시 로봇산업 분야 규제자유특구를 글로벌 혁신 특구로 업그레이드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비롯해 다선의 주호영(5선), 김상훈(3선) 의원 등이 포진한 대구 정치권이 어떤 결과를 낼지 이목이 집중된다.
윤석열 정부의 지방정책 핵심사업인 기회발전특구와 교육자유특구가 어디로 돌아갈지도 관심사다. 기회발전특구는 세제 지원 등으로 비수도권 투자유치 활성화를 끌어내는 게 목표다. 교육자유특구는 지역 맞춤형 공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된다.
특구의 근거가 될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지만, 정부 측은 일찌감치 실무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정권 초기부터 공개된 윤 정부 공약인만큼 특구 유치 방침을 세운 기초지자체들이 적잖은 것으로 전해진다.
정치권 관계자는 "특구 유치 여부에 따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 국회의원들에 대한 평가도 갈릴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