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태풍 '카눈', 10일 오전부터 11일 새벽까지 韓 관통…"폭우와 강풍 동반"

오는 10일 오전 9시 통영 서쪽 해상 근접…한반도 상륙해 북서진 거듭
11일 오전 9시 평양 북동쪽 지점 이르러…더 서쪽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기상청 7일 오후 10시 발표 6호 태풍 카눈 예상경로
기상청 7일 오후 10시 발표 6호 태풍 카눈 예상경로
제6호 태풍
제6호 태풍 '카눈'이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8일 부산항 5부두에 수백 척의 선박이 대피해 있다. 연합뉴스

북상 중인 제6호 태풍 카눈이 10일 오전부터 11일 새벽까지 우리나라를 지날 것으로 예보됐다.

8일 오전 기상청 태풍정보와 브리핑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카눈은 일본 가고시마 남쪽 300km 부근 해상에 자리잡고 있다. 오전 10시 30분 현재 남해동부바깥먼바다에는 태풍주의보가 발효됐고 내륙 전체와 대부분 해상에 태풍예비특보가 발령됐다.

카눈은 오는 10일 오전 9시 경남 통영 서쪽 30㎞ 부근 해상까지 북상한 뒤 한반도에 상륙해 북서진을 거듭하면서 12시간 뒤인 11일 오전 9시 북한 평양 북동쪽 70㎞ 지점에 이르겠다. 국내에 상륙할 때 강도는 '강'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오전 9시 카눈의 중심기압은 970hPa(헥토파스칼), 중심 최대풍속은 35㎧(시속 126㎞), 강풍반경(풍속이 15㎧ 이상인 구역)과 폭풍반경(풍속이 25㎧ 이상인 구역)은 각각 310㎞와 120㎞일 것으로 전망된다.

카눈 경로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로는 ▷카눈의 세력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세 ▷우리나라 북쪽에서 대기 상층으로 유입되는 기압골 등이 꼽힌다.

관련 국가들의 기상당국 카눈 예상 경로를 비교했을 때 기상청 예상 경로가 가장 동쪽이다. 한국 기상청을 비롯해 각국 기상당국 카눈 예상 경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서쪽으로 옮겨가는 모습을 보인다. 카눈 예상 경로가 더 서쪽으로 옮겨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기상청에 따르면 각국 수치예보모델 전망치도 카눈이 일본 가고시마를 지난 이후 시점에 대해서는 편차가 큰 상황이다.

한국형 수치예보모델(KIM)은 카눈의 세력은 현재와 비슷하고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세는 약하고 카눈과 북쪽 기압골 간 상호작용은 강하게 일어나 카눈이 동해안을 따라서 북상하는 것을 유력하게 본다.

유럽 중기예보센터 모델(ECMWF)은 카눈의 세력은 KIM처럼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보면서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세는 강하고 북쪽 기압골과 상호작용은 약하리라 보면서 한반도 중심을 관통하는 것을 유력한 경로로 제시했다.

영국 기상청 통합모델(UM)은 카눈의 세력과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세가 모두 강하고 북쪽 기압골과 상호작용은 약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카눈이 전남을 스쳐 서해로 진출해 중국 산둥반도를 향해 나아가는 경로를 유력시하고 있다.

각국 기상당국은 공통적으로 카눈이 우리 나라를 지날 동안 강한 폭우와 강풍이 예상된다고 예보했다.

9~10일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과 서해5도는 50~100㎜(많은 곳 150㎜ 이상), 강원 영동은 200~400㎜(많은 곳 500㎜ 이상), 강원 영서는 50~100㎜(많은 곳 150㎜ 이상)이다. 충청권과 전라권은 50~100㎜(충청권 많은 곳 150㎜ 이상, 전라 동부 많은 곳 200㎜ 이상), 경상권은 100~200㎜(경북서부내륙·울산·경북동해안 많은 곳 300㎜ 이상, 경남 서부내륙 많은 곳 400㎜ 이상), 울릉도·독도 50~100㎜, 제주 50~150㎜(산지와 중산간 많은 곳 각각 300㎜와 200㎜ 이상)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태풍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부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국내에 유입돼 산 등 지형과 충돌하면서 구름대가 들어오기 전부터 비가 내릴 수 있으니 사전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6호 태풍 카눈 예상경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6호 태풍 카눈 예상경로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